북미 2차 정상회담 확대정상회담에 모습을 드러냈던 존 본털 백악관 안보보좌관. /AP-뉴시스
북미 2차 정상회담 확대정상회담에 모습을 드러냈던 존 본털 백악관 안보보좌관. /AP-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북한 비핵화 실무협상을 맡아온 스티브 비건 대북특별대표가 앞으로의 대북대화의 방향으로 ‘빅딜’을 언급해 주목된다. 지난해 1차 북미정상회담 이전까지 미국의 입장이었던 완전한 비핵화와 전면적 대북제재 해제를 교환하는 형태로 되돌아간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비건 특별대표는 11일(현지시각)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핵정책 콘퍼런스 좌담회에서 “우리는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를 위해 북한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비건 특별대표는 “북한과 대화를 지속하고 있고 문은 열려 있다”며 “미국이 원한 만큼 진전하진 않았지만, 여전히 외교는 살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 비핵화 협상 노선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중심의 온건파와 존 볼턴 백악관 안보보좌관 중심의 강경파로 나뉜다. 온건파는 북한과의 대화 모멘텀을 이어가면서 단계적 비핵화를 받아들이는 입장에 가까운 반면, 강경파는 과거 리비아 모델과 비슷한 일괄타결 형태의 빅딜을 선호하는 차이가 있다.

1차 북미회담 전까지 우세했던 것은 강경파의 목소리였다.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볼턴 보좌관은 미국 언론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CVID’와 제재해제를 한 번에 맞바꾸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비핵화에 걸리는 물리적 시간이 있고, 빅딜에 대한 북한의 반발이 커 싱가포르 합의 이후부터는 온건파인 폼페이오 장관과 국무부가 대북협상 전면에 나선 바 있다.

하지만 하노이 회담이 결렬된 후 미국의 분위기가 다시 바뀌고 있다. 특히 국무부 소속으로 비교적 온건파로 분류됐던 비건 특별대표가 ‘빅딜’을 언급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트럼프 행정부의 향후 대북협상 기조가 강경파로 흘러갈 가능성이 점쳐지는 대목이다. 밑바탕에는 다음 회담이 개최될 경우, 이전의 협상보다 더 큰 결과물이 필요하다는 인식과 북한에 대한 압박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강경압박 메시지에 대해 북한은 현재까지 특별한 반응은 보이지 않고 있다. 노동신문을 통해 하노이 협상결렬 사실을 전하면서 이를 환영하는 일본을 비난했을 뿐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미국의 강경파나 온건파, 북한 모두 대화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미국 고위관료의 언론 인터뷰 발언에 건건이 발끈하며 비난성명을 냈던 과거와 비교하면 온도차는 분명하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