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노조 강원도건설기계지부가 무릉도원 건설 현장에서 항의 집회를 갖고 있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코오롱글로벌이 ‘단가 후려치기’ 논란에 휩싸였다.

건설노조 강원도건설기계지부는 최근 코오롱글로벌이 덤프트럭 단가를 지나치게 낮게 책정해 지역 건설기계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제가 된 곳은 강원도 춘천의 ‘무릉도원’ 건설현장이다. 무릉도원은 호텔, 콘도, 골프장, 생태공원, 한옥마을 등이 들어설 예정인 종합관광단지로 춘천지역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지난 2009년부터 춘천시 동산면 조양리 일대 499만㎡에 조성중이며, 공사비는 6,000억원에 달한다.

당초 코오롱글로벌은 이 사업의 시공사였다. 하지만 함께 손을 잡았던 시행사 AM L&D가 자금난을 끝내 극복하지 못해 공사는 지난 2012년 9월 중단됐다. 공정률은 26%에 불과했다.

이미 적잖은 자금을 투입했던 코오롱글로벌은 사업을 재개하기위해 직접 나섰다. 공매로 나온 사업부지를 약 1,400억원에 낙찰 받고, 춘천시에 사업자변경을 승인받아 시행사가 됐다. 그렇게 공사는 지난해 8월 재개됐다.

▲코오롱글로벌이 춘천 무릉도원 공사와 관련해 덤프트럭 ‘단가 후려치기’ 논란에 휩싸였다.
◇ 힘겹게 재개된 공사… 갈등 확산 우려

건설노조 강원도건설기계지부 권혁병 지부장은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코오롱글로벌로 시행사가 바뀌고 공사가 재개됐지만, 덤프트럭 단가는 터무니없는 수준이다”라고 주장했다.

현재 코오롱글로벌이 무릉도원 건설현장에서 덤프트럭에 지급하는 금액은 15톤 기준 36만원이다. 권 지부장은 “이중 70%는 정비 등의 부대비용이고, 30%정도가 인건비라고 보면 된다”며 “36만원에는 기름 값까지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많아야 하루에 10만원을 버는 것이다. 적지 않은 돈일 수도 있다. 하지만 덤프트럭 운전기사들의 특성을 고려하면 그렇지만은 않다. 일 자체가 비정기적이고, 노동시간이 길며, 소위 말하는 3D업종에 속하기 때문이다.

권 지부장은 “현재 지역에 형성돼 있는 단가가 50만원 수준이다. 강원도가 타 지역보다 단가가 높은 것은 맞지만, 그만큼 지역 물류비와 소비자물가가 높기 때문이다. 표준품셈을 기준으로하면 68만원이 넘는데, 우리가 그만큼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표준품셈은 정부가 발주하는 공사의 공사비 기준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코오롱글로벌의 입장은 전혀 다르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다른 곳은 34만원인데, 강원도 특성을 고려해 36만원으로 책정한 것”이라며 “노조에 속하지 않은 분들 중에 이 단가에 하겠다는 분들이 계셔서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쪽에서 요구하는 단가의 기준이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권 지부장은 “다른 중소 건설사들도 적정 단가를 맞춰주는데, 대형 건설사인 코오롱글로벌이 오히려 지나치게 단가를 낮추고 있다”며 “지역에 혼란을 불러올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지나치게 낮은 단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가격경쟁력이 높은 쪽을 선택하는 것은 우리로서는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같은 단가를 바라보는 양측의 입장은 확연히 다르다. 물론 아직은 갈등이 수면위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양측의 조율이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자칫 큰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권 지부장은 “현재는 큰 마찰 없이 간부급만 선전활동을 하고 있다”며 “15일에 협상하기로 했다. 만약 그때도 특별한 변화가 없다면 코오롱글로벌 본사가 있는 인천에서 상경 투쟁을 벌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오롱 글로벌 관계자 역시 “일단 현재 계약된 부분에 대해서는 끝까지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노조 측의 요구가 있으니 대화의 문은 계속 열어둘 것이다. 잘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코오롱글로벌은 그동안 무릉도원 사업에 참여하면서 적잖은 난관에 부딪혀왔다. 이 과정에서 ‘무리한 사업추진’이란 지적을 받은 것도 사실이다. 사업부지 인수와 이전 시행사의 PF대출금 대납, 공사 중단 기간 중 들어간 유지보수비용이 수천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현재 불거지고 있는 건설노조와의 ‘단가’ 논란마저 확산될 경우 또 한 번 진통을 겪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