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이하늬가 영화 ‘유령’(감독 이해영)으로 돌아왔다. / CJ ENM
배우 이하늬가 영화 ‘유령’(감독 이해영)으로 돌아왔다. / CJ ENM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배우 이하늬가 영화 ‘유령’(감독 이해영)으로 돌아왔다. 특유의 단단한 매력과 한층 깊어진 감정 연기로, 깊은 슬픔에도 지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려는 강단 있는 캐릭터를 더욱 매력적으로 완성, 마음을 흔든다.  

‘유령’은 1933년 경성 조선총독부에 항일조직이 심어놓은 스파이 유령으로 의심받으며 외딴 호텔에 갇힌 용의자들이 의심을 뚫고 탈출하기 위해 벌이는 사투와 진짜 유령의 멈출 수 없는 작전을 그린 작품이다. 

극 중 이하늬는 총독부 통신과 암호 전문 기록 담당 박차경을 연기했다. 박차경은 신임 총독 암살 시도가 있던 날, 항일조직 ‘흑색단’의 스파이 ‘유령’의 죽음을 목격한 총독부 통신과 암호 전문 기록담당이다. ‘유령’을 잡기 위해 덫을 놓은 카이토(박해수 분)의 계략에 빠져 외딴 호텔에 갇혀 ‘유령’으로 의심 받게 된다. 

이하늬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내면에 깊은 슬픔과 아픔을 품고 있는 박차경을 절제된 감정 연기로 섬세하게 빚어내 호평을 얻고 있다. 고강도 액션 소화력은 물론, 죽기 위한 삶을 사는 인물의 처절함을 담아낸 액션 연기로 몰입을 이끈다.  

출산 후 잠깐의 공백기를 마치고 돌아온 이하늬는 더 단단하고 깊어진 모습이었다. 육아와 일을 병행하며 그 어느 때보다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지만, 지금 주어진 것에 충실하고 매일에 감사하며 하루하루를 채워가고 있었다. 그렇게 배우 그리고 사람 이하늬는 점점 익어가고 있었다.

-‘유령’과 함께 하게 된 계기는. 
“이해영 감독님이 시나리오를 주시면서 감사하게도 ‘차경이라는 역할을 너를 두고 썼다’는 말을 해주셨다. 배우로서 정말 영광스러운 말이었다. 사실이든 아니든, 너무 감사했다.(웃음) 그것만으로도 황송하다는 생각으로 시나리오를 봤는데 정말 너무 연기해 보고 싶었다. 배우가 작품을 선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나는 작품이 운명처럼 내게 오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한다. ‘유령’도 그런 느낌이 굉장히 강했다.”

-박차경은 어떤 인물이었나. 
“우선 표면적으로 일차원적이지 않아서 좋았다. 슬픔이나 화남, 기쁨 등의 감정들을 일차원적으로 쏟아내는 캐릭터가 아니라, 그것을 아주 깊게 누르고 누르지만 비집고 나오는, 표현하지 않는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표현적인 연기를 넘어서 살짝 데워져 나오는 연기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레이어를 굉장히 깊게 쌓았다. 지하 100층까지 뚫려있는 슬픔이라고 생각했다. 내가 가진 슬픔으로는 사실 잘 이해가 안 되는 거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슬픔과 차원이 다른 슬픔을 겪었을 것이고 겪고 있는 캐릭터기 때문에 그것에 굉장히 집중했다. 잔이 슬픔으로 채워졌는데 절대 쏟지 않는, 찰랑찰랑한 감정의 상태를 유지하는 인물. 촬영 내내 그런 포인트들이 고통스럽긴 했다. 그 에너지를 쭉 유지하면서 가야 했기 때문이다. 어떤 장면에서는 차경이 표현하지 않지만 아주 복잡하고 깊은 어떤 것들이 조금씩 드러나길 바랐다. 연기하는 재미, 맛이 있었다.” 

‘유령’에서 박차경을 연기한 이하늬 스틸컷. / CJ ENM
‘유령’에서 박차경을 연기한 이하늬 스틸컷. / CJ ENM

-감정을 쏟아내는 방향에 대한 고민이 많았던 것 같다.  
“맞다. 그 캐릭터 안에 들어갔을 때 내가 어떻게 하지 못하는 감정들이 있더라. 예를 들어 처음 유리코(박소담 분)를 만나고 지하실 밀실에 들어갔을 때 총을 겨누고 되묻는 장면이 있는데, 아주 단단하고 매섭게 하고 싶은데 대사를 할 때마다 눈물이 나는 거다. ‘너 정체가 뭐야?’라는 대사였는데, 눈물이 날 대사가 아니잖나. 그런데 아무리 테이크를 가도 목소리는 단단한데 눈물이 또르르 흐르는 거다. 계속 다시 갔는데 그 대사를 할 때마다 눈물이 나더라. 그래서 이건 그냥 흐르는 게 맞겠다 싶었다.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더라. 내가 미처 느끼지 못한 감정들을 많이 느끼기도 했고 실제 나라면 표출했을 감정들을 많이 누르기도 했다. 어떤 장면에서는 너무 울음을 참고 안으로 넣었더니 비장이 끊긴다는 표현처럼 안에서 무언가 끊어지는 느낌이 들더니 다음날 걷지를 못했다. 아무리 감정을 깊이 해도 툭 끊기는 느낌은 처음이었다. 촬영이 끝난 후에도 며칠 동안 제대로 걷지를 못했다. 이런 식으로 울면 몸이 이렇게도 되는구나, 그래서 비장이 끊기는 슬픔이라고 표현하는구나 싶었다.”

-고강도 액션도 소화해야 했다. 어렵진 않았나. 
“단순히 누가 이겼다, 기술적으로 어떻게 보이겠다는 액션이 아니었다. 완전히 감정신이라고 생각했다. 죽으려고 사는 사람과 살려고 사는 사람이 맞붙는 대결구조라고 생각했다. 쥰지(설경구 분)는 삶을 위한 사람이기 때문에 죽지 않으려는 디펜스를 한다. 차경은 죽으려고 계속 덤빈다. 나도 죽고 너도 죽어, 여기서 죽음을 놓고 해보자 이런 마음이다. 어떻게 보면 무모할 수 있다는 것을 본인도 너무 안다. 아는데 고민하지 않고 그냥 하는 게 박차경이었다. 멋있어 보이면 안 되는 액션이었다. 사력을 다하고 있다는 느낌, 정말 지치지 않는다는 느낌을 표현하고 싶었다. 끈질김. 영화에서도 ‘조선은 안 지친다’라는 말이 나오잖나. 그때 당시 일본인들에게는 굉장히 단점이었겠지만 대한민국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큰 장점이다. 절대 안 밟힌다. 끊임없이 물고 늘어지는 끈질김, 엄청난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을 대변하는 캐릭터로 비치길 바랐다.” 

-박소담과의 호흡은 어땠나. 
“한국 영화계의 보물 같은 존재다. 부디 지치지 말고 아프지 말았으면 한다. 박소담 개인의 몫이 아닌 누군가 지정해서 특별 관리를 해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다. 그 나이대에 그렇게 강단 있는 에너지로 연기하는 배우가 몇이나 될까. 대체 불가능한 배우가 벌써 된 거다. 현장에서 볼 때도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을 정말 많이 했다. 사실 그때는 아프다는 것을 본인도 몰랐다. 사람이 어디가 아프다는 것을 알면 몸도 사리고 할 텐데 이유를 모를 때 촬영했고 아주 시간이 흐른 후에야 그런 이유 때문인 걸 알았다. 개인적으로 굉장히 힘들었을 거다. 내가 왜 이러지 생각을 했을 텐데도 흔들림이 없었다. 정말 놀라울 정도다. 하나하나 다 감동이었다. 배우의 연기에도 감동하지만 작업장에 있는 작업자들은 태도에도 감동을 받거든. 정말 존경스러웠다. 그 생각을 참 많이 하면서 작업했다.”

점점 더 깊어지는 배우 이하늬. / CJ ENM
점점 더 깊어지는 배우 이하늬. / CJ ENM

-최근 엄마가 됐다. 출산 전후로 어떻게 달라졌나. 배우로서 느끼는 감정의 깊이와 폭도 변화가 있을 것 같은데. 
“임신과 출산을 겪으면서 인간계와 신계가 동시에 있을 수 있는 일이 있나 싶었다. 내가 이렇게 동물이었나 싶기도 하고 이렇게 신의 영역인 창조의 영역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일이 있을까 싶었다. 37시간 진통하고 아이를 낳았다. 내가 너무 무식했기 때문에 했던 것 같다. 진통을 겪으면서 ‘아 이래서 제왕절개를 하는구나’ 싶었다. 신의 영역에 잠깐 갔다 온 것 같은, 또 동시에 이 땅에 엄마들이 한 일이 이런 거였구나 경외감이 들었다. 진짜 똑바로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엄마들을 바라보는 시각도 정말 많이 바뀌었다. 배우를 바라보는 입장도 바뀌었다. 굉장히 열심히 하는 배우라고 생각했고 그것밖에 무기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그것보다 이제는 삶을 살아가면서 연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연기를 열심히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삶을 살아가는 것, 그리고 그 삶을 연기에 녹여내는 배우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나의 시간, 몸이 완전히 해체되는 걸 겪고도 둘째를 낳아볼까 미친 생각을 하는 나를 보면서, 한 존재를 아낌없이 아무것도 재지 않고 소중히 여기는 나를 보면서 배우 이하늬에게도 너무 중요한 자산이라는 생각을 했다.” 

-똑바로 살아야겠다, 삶을 살아가며 연기해야겠다고 표현했는데, 그렇다면 ‘잘 사는 삶’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어려운 질문이다. 예전부터 책임감이 많았다. 그만큼 죄책감도 컸다. 책임지고 싶어 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그에 반해 못했을 때는 너무 미안했다. 이제는 그런 감정에 있어서 인간 이하늬에게 숨통을 좀 트여주고 싶다. 선택을 할 때 기왕이면 신나게 하고 싶다. 상황은 바뀌지 않지만 나의 감정 상태는 내가 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일을 할 때는 감사한 마음으로, 집에 돌아갔을 때는 내가 이런 존재를 낳았다니 정말 경이롭다는 생각으로 그렇게 노력한다. 되게 힘든데, 어떻게 보면 ‘49’와 ‘51’의 싸움이다. ‘49’의 힘듦이 걷어지거나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감사함을 조금이라도 ‘51’의 방향으로 가져가 보려고 매 순간 선택하는 거다. 현장에서 그렇게 하루하루를 선택하면서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 같이 하는 배우, 스태프들에게도 그 하루가 얼마나 소중하겠나. 그것을 내가 해치지 않았으면 좋겠고 충만했으면 좋겠다. ‘천만 배우가 되고 싶다’ 같은 것들은 나의 영역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시청률, 관객 스코어는 인간계의 일이 아닌 거다. 인간이면서 그것에 욕심을 내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

-천만 배우, 높은 시청률을 이미 이룬 자의 여유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나는 내가 ‘천만 배우’가 되면 바뀔 줄 알았다. 굉장히 연기력을 갖고 있는 독보적인 배우가 되겠지 했는데 그렇지 않더라고. 그냥 똑같더라. 높은 시청률과 천만 배우가 된다는 게 정말 감사한데 한편으로는 신기루 같은 거였네 싶더라. 그렇기 때문에 내 하루가 더 소중하고 촬영장에서 내가 어떤 사람으로 존재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물론 한 번 해봤기 때문에 드는 생각일 거다. ‘극한직업’도 내가 잘해서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 심지어 동료들이 잘 해서 된 것도 아니다. 그냥 기적과 선물처럼 온 거다. 그런 것을 꿈꾸는 것은 일확천금, 복권 당첨을 꿈꾸는 것과 같은 거다. 그것은 신의 영역이다. 인간계에서 내가 할 일은 최선을 다하는 것뿐이라고 생각한다.”

-배우로 지나온 삶을 돌아보면 어떤가.  
“진짜 열심히는 살았다. 나는 배우가 언제 되지, 진짜 배우가 되고 싶은데 하는 갈증은 있었다. 한참 그런 생각을 하고 슬럼프를 깊게 겪고 든 생각은 내가 배우가 되고 싶다고 해서 나를 배우로 불러주지 않는다는 거였다. 나한테는 돌이 굴러서 이끼가 끼는 시간이 필요하구나. 그래서 배우가 되는 게 힘들고 무서운 것 같다. 시간이 필요해서. 삶의 시간도 필요하고 삶의 연륜, 경험도 너무 필요하다. 단순히 스킬이 아니라 사람 자체가 익어야만 나오는 연기가 따로 있고, 그렇기 때문에 배우가 잔인한 직업이기도 하고 나이가 들수록 풍성해질 수 있는 직업이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30대 초반 그렇게 나를 다독였다. 딱 10년만 버티자. 돌이 굴러서 이끼가 끼는 시간 10년만 주자. 어떤 이끼가 끼든, 조금이든 많든 어쨌든 껴 있을 것이고, 이끼가 낀 나를 보면서 만족할지 모르겠지만 일단은 한 번 굴러보자. 배역의 크기 상관하지 말고 계속 작품을 하는 게 나에게는 내 자신을 구르게 하는 시간들이었다. 10년 정도 지나고 나니 이제 조금은 이끼가 꼈나? 싶은 느낌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