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및 금리인상으로 부채‧이자 증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률 악화

최근 3년간 한계기업에 속한 건설사들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뉴시스
최근 3년간 한계기업에 속한 건설사들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전체 건설사 중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3년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등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일 경우 ‘한계기업’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22년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 내 ‘한계기업’에 속한 건설사 비중은 18.7%(387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계기업’ 비중은 2020년 15.8%(305개)에 이어 2021년 17.3%(349개), 지난해 18.7%(387개)로 해마다 늘고 있다.

특히 종합건설사가 전문건설사에 비해 더 가파르게 ‘한계기업’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종합건설사의 ‘한계기업’ 수는 216개(18.8%)였으나 2021년 250개(20.5%), 2022년 279개(22.1%)로 불어났다. 

종합건설사 가운데 토목건설업의 ‘한계기업’ 수는 2020년 67개에서 2021년 79개, 2022년 96개로 늘어나 3년 만에 43.3% 상승했다. 동기간 건물건설업을 영위한 종합건설사의 ‘한계기업’ 수는 2020년 149개, 2021년 171개, 2022년 183개로 3년간 22.8% 올랐다.

반면 전문건설사는 2020년 89개(11.4%), 2021년 99개(12.4%), 2022년 108개(13.5%)로 종합건설사에 비해 ‘한계기업’ 수가 더디게 늘었다.

건설업 규모별로 ‘한계기업’ 추이를 살펴보면 대기업 ‘한계기업’은 큰 변화가 없는 수준이지만 중소기업의 ‘한계기업’ 증가세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내 ‘한계기업’ 중 대기업은 2020년 46개에서 2021년 47개, 2022년에는 54개로 증가했다. 이에 반해 중소기업에 속한 ‘한계기업’은 2020년 259개, 2021년 302개, 2022년 333개로 3년새 28.6% 증가했다.

현행 ‘중소기업기본법’ 및 시행령에 따르면 건설업의 중소기업은 평균 매출액 1,000억원 이하, 자산 총액이 5,000억원 미만인 건설사를 가리킨다.

지난 2022년 기준으로 규모별 ‘한계기업’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한계기업’ 387개 중 14%(54개)만 대기업에 해당됐고 나머지 86.0%(333개)는 중소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업종별로 들여다봐도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작년 기준 종합건설사 ‘한계기업’ 279개 중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2.9%(36개)이었으며 중소기업은 87.1%(243개)를 차지했다. 전문건설사 내에서는 총 108개의 ‘한계기업’ 중 대기업은 16.7%(18개)였으며 중소기업은 83.3%(90개)로 나타났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한계기업’이 증가한 것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저금리 기조에 따라 부채가 늘어났데다 물가상승으로 인한 금리인상으로 이자비용 부담까지 급증한 것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며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한 건설자재가격으로 인해 건설업체의 수익률이 악화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도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건설경기 하락이 본격화된 올해 이후 상황으로 볼 수 있다”며 “고금리 기조 유지와 높은 건설원가 등으로 인해 2023년 건설업의 부실은 향후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또 김태준 연구위원은 “건설경기의 반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면서 “먼저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부도‧흑자도산되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