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硏 로봇응용연구실, 사고대응로봇 ‘암스트롱’ 개발
강력한 로봇팔로 200kg도 운반… 국내 기업에 기술 이전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박종원 로봇응용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이 자체 개발한 고하중 양팔 로봇 ‘암스트롱(ARMstrong)’ 주요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했다고 15일 밝혔다./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박종원 로봇응용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이 자체 개발한 고하중 양팔 로봇 ‘암스트롱(ARMstrong)’ 주요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했다고 15일 밝혔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국내 연구진이 오랜 기간 개발해 온 ‘원자력 로봇’이 실제 현장에 투입될 준비를 마쳤다. 인간 노동자를 대신해 건설 현장에서 고난도·고위험 작업을 수행, 작업 안전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박종원 로봇응용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이 자체 개발한 고하중 양팔 로봇 ‘암스트롱(ARMstrong)’ 주요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전 대상은 스마트건설 안전진단 솔루션 업체 ‘아이티원’이다. 이전 조건은 정액기술료 2억원에 매출액 5%를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커지면서, 고위험 작업이 빈번한 건설 현장에서는 로봇을 활용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 고중량물 취급이 잦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건설 현장 작업은 높은 숙련도가 필요해서다. 기존에도 건설 업체에서 순찰 로봇 등을 한정적으로 활용한 적이 있다. 하지만 고중량물을 들고 사람처럼 섬세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까지는 진입하지 못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박종원 선임연구원팀은 2015년부터 사고 대응 및 복구 작업을 위한 다양한 방재 로봇 개발에 힘써왔다. 이 중 ‘암스트롱’은 건설, 발전, 제철 등 위험도가 높은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 관련 업체와 기술 이전을 협의해왔다. 

이번에 이전한 기술은 로봇의 팔 역할을 하는 매니퓰레이터, 제어 시스템, 원격제어 기술 등이다. 2016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히 출원해 온 발명 특허 5건과 설계도, 프로그램, 운영 기술 등이 포함된다. 특정 분야에서 개발한 기술을 다른 분야에 적용한 일종의 스핀오프(spin-off)로 원자력 로봇 기술이 민간 건설 분야에 적용될 최초 사례다.

사고대응로봇인 ‘암스트롱’은 사람과 유사한 구조로 이뤄졌다. 좌우에 장착된 로봇팔로 200kg 하중의 물건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전차 바퀴처럼 생긴 무한궤도 형태로 험지 이동도 가능하다. 무거운 콘크리트나 폐기물 드럼을 취급하고, 소화수 분사, 잔해물 처리, 밸브 조작이 필요한 사고 현장에서 특히 유용하다.

또한 전용 제어장치로 복잡한 동작을 멀리서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사람 팔 모양의 ‘마스터 디바이스’를 움직이면 암스트롱의 팔도 함께 똑같이 움직이는 방식이다. 고중량 파이프 및 볼트 조립, 드릴링 작업부터 전기 커넥터 연결과 같은 섬세한 작업도 가능하다. 

연구팀은 “인력이 부족하고, 고위험 작업이 빈번한 건설 현장에서 큰 강점을 보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실제로 원자력연은 지난해 국내 처음으로 원자력발전소에 ‘암스트롱’을 포함한 방재 로봇을 투입해 방사선 누출 차단 작업 등을 수행하는 등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다.

주한규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이번 기술 이전은 원자력 안전을 위해 개발한 로봇 기술이 민간 건설 분야에 적용될 첫 사례”라며 “앞으로도 첨단 원자력 기술을 타 산업 분야로 확산해 우리나라 기술 발전을 견인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