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 상위 50위 이내 건설사 대상 사업자 보증 관리
워크아웃 및 법정관리 사업장 정상화도 전담 예정

HF가 시평순위 상위 50위 이내 건설사의 PF 보증관리를 전담하는 TF를 구성했다. / 뉴시스
HF가 시평순위 상위 50위 이내 건설사의 PF 보증관리를 전담하는 TF를 구성했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시공능력평가순위 50위권 이내 건설사들의 부동산 PF 보증관리를 위해 사내에 별도의 TF(task force)팀을 출범했다.

최근 건설업계 및 HF 등에 따르면 HF는 이달 초 제2의 태영건설 사태를 방지하고자 업계 순위 상위권에 속한 중견‧대형건설사를 상대로 PF 보증관리를 전담하는 TF를 구성했다.

HF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이달 5일부터 ‘사업자 보증 신속심사 TF’를 구성해 운영 중”이라며 “TF의 운영방침을 새로 정한 것은 아니고 국토교통부가 발표하는 시공평가능력 1~50위권 이내 건설사에 대한 사업자 보증, 워크아웃 및 법정관리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사업정상화 등을 전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건설사들의 PF 부실화 우려 요소를 주로 집중 모니터링할 계획”이라며 “운영 종료시점 등은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사업자 보증 신속심사 TF’는 건설상의 특례 PF 보증 역시 직접 관리할 방침이다.

올해 초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확정되면서 PF발 리스크가 현실화되자 정부는 지난달 10일 이른바 ‘1‧10 부동산 대책’을 통해 건설사의 자금흐름을 개선하고 사업장별 재구조화‧정상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10 부동산 대책’에는 PF시장 위축에 따른 유동성 확보 부담 완화를 위해 건설사가 보증한 PF-ABCP(자산담보부 기업어음)의 대출 전환 규모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당시 대책을 통해 HUG(주택도시보증공사)·HF의 대출 전환 금액은 기존 총 3조원에서 5조원으로 확대됐다. 이 가운데 HF가 담당하는 장기대출전환 보증 규모는 1조5,000억원에서 2조5,000억원으로 1조원 증가했다.

한편 지난달 말 ‘우리나라 부동산 PF 위험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한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PF의 경우 시공사에 대한 의존도가 커 건설사의 자금조달 여력이 제한되면 PF 방식의 부동산 개발이 수월히 이뤄질 수 없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사업장까지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다만 그는 “현재 건설사의 신용보강은 주로 책임준공에 한정돼 있어 PF 우발채무에 의한 건설사의 건전성 악화 위험은 이전보다 제한적”이라면서도 “허나 부동산 경기 침체, 원자재가격 상승 및 이자율 상승 지속 등으로 건설사 수익이 지속 악화될 시 건설사의 리스크는 현재보다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