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업권이 지난해 5500억원대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 픽사베이
저축은행업권이 지난해 5500억원대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 픽사베이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저축은행업권이 지난해 5,500억원대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고금리와 부동산금융 리스크가 발목을 잡았다.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도 나빠졌으나 저축은행중앙회 측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 고금리·PF 쇼크에 5,559억원 적자

22일 발표한 금융감독원의 ‘저축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은행 79개사는 5,5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1조5,622억원) 대비 적자로 돌아선 실적이다.

저축은행업권이 적자를 낸 것은 지난 2011년 대규모 영업정지 사태로 2013회계연도에 5,089억원의 손실을 기록한 이후 처음이다.

금감원 측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 “조달비용 증가 등에 따른 이자손익 감소와 PF대출 관련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 등으로 인한 대손비용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저축은행업권의 이자비용은 전년보다 2조4,331억원이 늘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손충당금 적립 등에 따른 대손비용은 1조3,000억원이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도 나빠졌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권의 연체율은 6.55%로 전년(3.41%)보다 3.14%p(퍼센트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5.01%로 전년 말 대비 0.27%p 올랐고 기업대출은 8.02%로 5.12%p 급등했다. 지난해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비율은 7.72%로 3.64%p 상승했다.

◇ “건전성 악화, 관리 가능한 수준”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35%로 전년 말(13.15%)보다 1.2%p 상승했다.

저축은행업권의 지난해 연체율 상승폭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5.8%p 상승한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다만 금감원 측은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인 20.3%와 비교하면 현재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상회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업계도 연체율 상승과 관련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측은 “부동산 경기 위축 등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건전성이 다소 악화되고 당기순손실이 발생했지만 자기자본과 대손충당금 적립규모 감안 시 손실흡수능력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신 추이와 금리변동 상황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 관리되고 있으며 한국은행의 유동성 지원도 가능한 상황”이라며 “예상치 못한 대규모 예금인출 발생 시에도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중앙회 측은 “부동산경기 침체 등에 따른 관련 리스크 증가, 경기회복 둔화에 따른 연체율 상승 등 부정적 요인이 시장안정화 시점까지 일정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빠른 수익성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며 “시장금리 하향 안정화에 따라 손실확대의 주요 요인인 이자비용이 감소돼 관련 손익은 다소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회 측은 건전성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개인사업자대출의 경우 새출발기금 외 민간매각을 상반기 중에 추진할 것”이라며 “부동산PF 대출의 경우도 연착륙 기조 하에서 손실흡수능력 확충, 적극적 연체 관리 등 다각적인 노력과 더불어 정책·감독당국 지원 등으로 건전성 관리 강화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