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16일. 인천을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세월호는 진도 앞바다에서 좌측으로 기운 뒤 순식간에 침몰했다.
[시사위크=우승준 기자]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 드리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채 수색작업을 종료하게 돼 안타깝고 송구하다.”

지난 11일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어두운 안색을 띤 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210일 만에 ‘세월호 수색작업 종료’를 발표한 것이다.

유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9명의 희생자를 떠올린다면 수색 작업은 계속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실종자 시신을 찾을 가능성이 낮은 점’과 ‘선체 붕괴 위험으로 인해 또 다른 희생을 낳을 수 있는 점’으로 인해 유가족들은 수색 중단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슬픔을 뒤로 하고, 배려의 결단을 내린 유가족들에게 다시 한 번 애도를 표한다. 

◇ 210일 만에 ‘세월호 수색작업’ 종료

세월호 침몰 참사는 우리사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준 안타까운 참사다. 꿈 많은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을 포함해 300명이 넘는 희생자들이 ‘돈에 눈이 먼 선사’와 ‘정부의 부실한 비상 대응 체계’로 인해 바다 속에 수장됐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번 참사로 인해 무방비에 가까웠던 우리사회의 ‘안전’이 베일을 벗었다. 베일을 벗은 한국의 ‘비정상적 안전’은 곳곳에서 사고로 번지며 국민에게 공포를 심어줬다. 지난 5월엔 고양시외버스터미널 화재로 6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지난달엔 판교 환풍구 사고로 16명이 허무하게 목숨을 잃었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크고 작은 ‘안전불감증’ 사고가 도미노처럼 일어난 것이다.

돌이켜보면 ‘안전불감증’은 우리사회가 극복하지 못한 고질병이기도 하다. 서해훼리호 침몰 참사(1993년 10월, 292명 사망)와 성수대교 붕괴 참사(1994년 10월, 32명 사망), 삼풍백화점 붕괴 대참사(1995년 6월, 502명 사망)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러한 끔찍한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안전불감증’은 늘 강조되는 단골손님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금방 잊혀지는 것이 다반사였고, 제도나 안전시스템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다. 만약 과거 참사에서 단 한 번이라도 교훈을 제대로 새겼더라면, 세월호 참사는 발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만성적인 ‘안전불감증’은 시민 의식과 국가시스템 모두에서 발견된다.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여태껏 벌어진 참사들 보면 ‘시민의식’과 ‘부실한 안전관리’, ‘제도적 미비’ 등이 동시에 작용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개인과 사회가 모두 ‘안전불감증’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 ‘안전불감증’이란 덫에 걸린 대한민국

문제는 지금도 이러한 ‘안전불감증’이 우리 주변에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주위를 둘러보면 공사현장의 빈약한 안전장비 실태를 확인할 수 있다. 지하철역에서는 닫히는 문에 몸을 던지는 사람 등 부족한 시민의식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시민의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안전교육’과 ‘안전캠페인’ 확대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체험중심의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며, 2018년부터 독립된 안전교과를 신설할 방침이다.

개인적인 의식뿐만 아니라 매번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를 반복하는 정부 차원의 ‘안전불감증’도 뿌리 뽑아야 한다. 세월호 참사는 단순히 항해사의 잘못으로 벌어진 참사가 아니었다. 무리한 선박 개조와 과적이 부른 필연적인 참사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관리·감독 역할을 해야할 관계기관은 제 역할을 전혀 못했다. 법·제도 역시 로비로 인해 안전보단 해운업계의 ‘수익’에 초점이 맞춰졌다.

세월호 수색은 종료됐지만 우리 사회 ‘안전불감증’은 여전히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 또 다시 반복되는 비극을 막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차원의 의식 개선은 물론 정부차원의 확실한 재발방지 대책 마련과 실천이 필요하다. 그것이 진도 바다에서 억울하게 생을 마감한 세월호 희생자의 넉을 달래는 하나의 방안이자 미래를 위한 일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