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 지도부가 지난 10일 2+2회동을 갖고 내주 중으로 정개특위를 구성하고 첫 회의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 사진은 왼쪽부터 안규백 새정치연합 원내수석부대표, 우윤근 새정치연합 원내대표,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 조해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정치개혁특위(정개특위)가 정국의 핵으로 떠올랐다. 지난 10일 여야가 내주 중으로 정개특위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기로 합의하면서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10일 여야 원내대표부는 ‘2+2회동’을 갖고 정개특위 구성과 함께 어린이집 CCTV설치 문제 등도 논의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무엇보다 정개특위에서는 선거구 재획정과 선거제도 개편안, 완전국민경선제까지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안규백 새정치연합 수석부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안 이슈이기 때문에 당연히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개특위가 다른 어떤 때보다 주목받는 이유는 선거구 재획정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이다. 선거구가 재획정될 경우, 일부 의원들은 최악의 경우 자신의 지역구를 잃을 가능성도 있다. 또 공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번 정개특위에 국회의원들의 정치적 운명이 걸려있는 셈이다. 이해관계가 첨예한 만큼 선거구 변동이 예정된 의원들은 위원장은 물론 위원에서도 전원 배제된다.

정개특위 위원장은 관례에 따라 새누리당 의원이 맡게 된다. 선거판의 헤게모니를 쥔다는 점에서 위원장직을 두고 새누리당 의원들 사이 물밑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위원장직을 두고 경선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당에서도 누구를 선임할지 다소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3선 이상의 중진급에서 상임위원장을 맡지 않은 의원들을 중심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는 상황이다. 4선의 이병석·이재오·이주영·정병국 의원과 3선의 강길부·김정훈·서상기·안홍준·장윤석·정두언·한선교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상임위는 아니지만 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거나 선거구 변동이 예정되어 있는 의원을 제외하고, 중립적인 인사가 선호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후보군은 약간 좁혀질 수 있다.

한편 정개특위 위원장 뿐만 아니라 어떤 의원들이 특위에 입성할지도 관심사다. 지역별 혹은 계파별 안배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특위에 입성할 위원들은 지역의석 사수나 추가확보의 막중한 책임감을 안게 된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른바 ‘전투력’이 높은 의원들이 입성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