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완종 리스트’의 파문으로 도덕성에 타격을 받은 친박계가 사건의 시발점이 된 검찰의 자원외교 수사에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시사위크=소미연 기자]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이 친박계의 표적이 됐다. ‘성완종 리스트’의 파문으로 도덕성에 타격을 받은 친박계가 사건의 시발점이 된 검찰의 자원외교 수사에 우 수석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책임론은 사퇴론으로 확대됐다. 우 수석의 개인 비리 관련해 친박계 핵심 실무자들이 소문의 진상을 확인 중에 있다는 게 당 안팎의 전언이다. 실제 한겨레에선 우 수석 부인의 농지법 위반 여부를 친박계의 뒷조사 사례로 제시했다.

물론 우 수석은 책임론이 불거진 사정기획설에 “소설 같은 얘기”라며 부인하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선 우 수석에 대한 견제로 해석하는 시각도 나온다. 그만큼 권력의 추가 우 수석에게 쏠려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우 수석은 이른바 ‘정윤회 문건’ 유출 사태 속에서도 고속 승진하며 박근혜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보여줬다. 당시 민정비서관이던 우 수석은 청와대 내부 특별감찰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지면서 파문을 몰고 온 바 있다.

◇ 책임론 불거진 사정기획설 반박 “소설 같은 얘기”

도리어 해당 사건은 우 수석의 청와대 내 입지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당사자들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김기춘 전 비서실장이 대책 마련을 위해 우 수석과 소통하면서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김영한 전 수석이 업무에 배제됐다는 게 정설이 됐다. 김 전 수석의 소외감은 우 수석에 대한 김 전 실장의 신임과 비례했다. 이후 우 수석은 김 전 수석의 자리를 꿰차며 현 정부 실세로 떠올랐다. 현 정부에서 비서관이 수석으로 수직상승한 유일한 케이스가 바로 우 수석이다.

우 수석의 승진은 검찰 안팎으로 볼멘소리를 낳았다. 검찰청 고검장급 인사보다도 기수가 낮은데다 대학 3학년 때 사법시험에 합격해 동기들 중에서도 나이가 어린 축에 속한다. 그만큼 우 수석의 승진이 파격적이라는 설명이다. 결국 검찰 인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법연수원 19기인 우 수석의 승진으로 선배인 16기와 17기의 검사장 7명이 옷을 벗었고, 18기는 물을 먹었다.

특히 신경식 수원지검장의 경우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직접 전화를 걸어 “먼저 모범을 보여달라”고 채근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용퇴’는 검찰의 전통이지만 검찰총장이 바뀌는 격변기에서나 볼 수 있는 조직 문화라는 점에서 강압적 용퇴 분위기가 조성됐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우 수석의 동기와 바로 아래 기수들이 전진 배치됐다. 대표적 인물이 윤갑근 대검찰청 부장이다. 윤 부장은 서울중앙지검 3차장을 지내던 시절 중수부 수사기획관이었던 우 수석과 호흡을 맞춘 바 있다.

▲ 우병우 민정수석은 ‘김기춘 사람’으로 통하지만, 실제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별다른 인연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에서 처음 만나 그 기간 두터운 사이가 됐다. 성격이 비슷해 빨리 친해졌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민정특보에 임명된 이명재 전 검찰총장도 청와대를 떠나는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배려로 해석되고 있다. 우 수석의 고향(경북 영주) 직계 선배인데다 김진태 검찰총장이 평소 가장 존경하는 선배로 꼽는 인물이다. 김 총장과 거래해야 하는 우 수석에게 이 특보는 후광 역할을 하게 되는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우 수석은 ‘김기춘 사람’으로 통한다. 우 수석의 청와대 발탁 역시 김 전 실장이 간택했다는 얘기가 나왔지만, 두 사람은 별다른 인연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정작 김 전 실장과 우 수석의 인연은 짧다. 청와대에서 처음 만나 그 기간 두터운 사이가 됐다. 성격이 비슷해 빨리 친해졌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때문에 일각에선 우 수석의 발탁 배경으로 ‘비서관 3인방(이재만·정호성·안봉근)’이 거론되기도 한다. 이와 함께 고 이상달 전 정강중기 대표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이 전 대표의 사위가 바로 우 수석이다. 이 전 대표는 생전 정관계에 폭넓은 인맥을 형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 수석을 둘러싼 뒷말이 무성한 가운데 야권의 사퇴 압박은 날로 더해지고 있다. 사정기획설에 대한 의혹은 물론 피의자가 될 수도 있는 인사들에게 수사 정보가 흘러갈 수 있다는 게 문제가 됐다. 통상 대검찰청(반부패부)-법무부(검찰국 형사기획과장)-청와대(비서실)로 이어지는 보고 라인에서 우 수석이 청와대에서 가장 먼저 특별수사팀 수사 상황을 알 수 있다. 우 수석은 상급자인 이병기 비서실장에게 보고할 의무가 있다.

당초 야당에선 우 수석의 청와대 입성을 반대해왔다. 대검 중수1과장으로 재직 중이던 2009년 ‘박연차 게이트’ 사건의 주임검사로 노무현 전 대통령을 직접 조사했던 이력 탓이다. 조사 직후 노 전 대통령은 부엉이 바위에서 스스로 몸을 던졌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사건이 미완성으로 마무리 됐으나, 우 수석은 대검찰청 범죄정보기획관과 수사기획관을 맡으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2013년 4월 검사장 승진에서 고배를 마시자 사표를 제출했다. 검찰 옷을 벗은 지 1년 만인 2014년 5월 민정비서관에 임명되며 공직에 복귀했다. 현직에 발탁된 이후 우 수석은 언론 취재에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