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통한 제조업의 ①스마트화, ②서비스화, ③고부가가치화로 경쟁력 제고 필요

▲ 자료=전경련 제공
[시사위크=정소현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사물인터넷(이하 IoT, Internet of Things)과 제조업의 융합을 통해 성장세가 둔화된 우리 제조업의 재부흥을 이끌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제조업과 IoT 융합은 제조업의 스마트화, 서비스화, 고부가가치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초기 기술 비용 부담 등으로 기업들의 활용도나 준비정도가 낮은 상황이기 때문에 R&D 예산 및 인센티브 확대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IoT가 불러올 제조업의 새바람 : 스마트화, 서비스화, 고부가가치화

전경련은 IoT가 불러올 제조업의 새바람으로 우선 ‘스마트화’를 꼽았다. 전경련에 따르면 IoT 및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을 제조기업의 생산 공정에 적용할 시, 효율성 증대 및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생산의 각 과정에서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에서 실시간으로 유의미한 정보가 분석되어 다시 생산과정에 반영됨으로써 최적의 생산효율을 구현하기 때문이다. 또한 매장 판매량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트렌드를 단시간 내에 제품 스펙 변경 및 생산량 조절에 반영하는 등 급변하는 시장의 수요와 고객 가치에 대한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전경련은 IoT를 통해 제조기업은 단순 제품 판매에서 제품 관리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매출 증대 및 고객 만족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존 제품에 스마트 기능을 가진 칩을 탑재시켜, 칩이 생산하는 자료를 빅데이터로 분석한 후 고객에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품 내 센서가 실시간으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여 고장의 징후를 예견하고 제품이 완전히 고장나기 전에 엔지니어를 파견하여 예방 보전할 수 있다. 이제는 애프터서비스가 아니라 ‘비포(Before)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전경련은 이와 더불어 기존의 전통적 기능만을 수행하던 제품에 IoT 기술이 접목되면,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변모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제품 단가 상승으로 연결되며 제조기업들에게 매출 증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칫솔에 센서를 탑재하면 스마트폰으로 잇솔질 습관을 분석, 관리해주는 ‘스마트 칫솔’처럼 우리 일상의 생활용품이 스마트해지는 것이다.

▲ 자료=전경련 제공
◇ 전문가들이 본 우리 제조업-IoT 융합 점수는 48.3점

제조업-IoT 융합이 중요해지고 있으나, 30명의 IoT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우리 제조업과 IoT 융합 점수는 평균 48.3점을 기록하여 아직 미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46.6%가 우리 제조기업의 IoT 활용 인프라가 미흡(조금 미흡+매우 미흡)하다고 응답했다. IoT 활용 촉진을 위해 가장 필요한 기술적 요소로 디바이스 부문은 센서(13명)와 서비스 생태계 부문은 플랫폼 분야(19명)를 꼽았으며, 정책적 지원으로는 R&D등 개발 및 활용 자금 지원(9명)과 오픈플랫폼 등 기술지원(8명)을 꼽았다.

◇ IoT 정작 활용하는 기업은 5.6%에 머물러

전경련이 회원사 제조기업 대상으로 실시한 제조기업 IoT 활용도 및 애로 설문조사(54개사 응답)에서 응답 기업의 90% 이상이 IoT의 중요성에 공감하였으나, 활용도 및 준비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 중 IoT를 활용하는 기업은 5.6%에 불과 했으며, 활용할 계획이 있는 기업도 11.1%에 불과했다.

◇ IoT 활용 비즈니스 사례 부족, 초기 기술 비용 등이 부담

응답기업들은 IoT 활용에 부담을 느끼는 주된 요인으로 비즈니스 모델 부족으로 인한 위험성(37%)과 센서 탑재, 플랫폼 구축 등의 기술적 초기 비용(27.8%)을 꼽았다. 또한 금융기관 해킹 등으로 인한 보안 리스크가 커지면서, 정보보안 문제(25.9%)가 그 뒤를 이었다. IoT-제조업 융합을 위한 정책적 건의사항으로는 전문가 대상 설문결과와 마찬가지로, 기술지원(37%)과 자금지원(27.8%)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료=전경련 제공

◇ 세액공제 등 인센티브 확대 필요

전경련 제조기업 및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 국내 제조업과 IoT 융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적 지원은 IoT 활용 기술 및 R&D 자금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부품연구원 설문조사에서도 가장 시급한 정부 지원책 중 하나로 R&D 사업 확대(43.5%)가 꼽혔다.

현재 미래부의 2015년 IoT R&D 예산은 239.01억 원으로 전체 과학기술·ICT 분야 R&D 예산(3조 9520억원)의 0.6% 비중이다. 또한, IoT R&D 결과물의 활용도가 저조하고 타산업과의 연계효과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 신성장동력 R&D 세액 공제 제도의 경우, ‘신성장동력 기술’을 1~2년 주기로 심사하여 포함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최신산업 동향인 IoT가 아직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전경련은 정부의 IoT 관련 R&D 예산 확대와 더불어, IoT R&D 기획 단계에서 제조기업의 현장 수요가 반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규정한 신성장동력기술에 누락되어 있는 IoT 기술 채택을 통한 IoT R&D 세액공제 등 관련 인센티브 확대를 촉구하였다.

◇ 우리 제조업 부활을 위해 제조업-IoT 융합 지원 정책 펴야

전경련 엄치성 국제본부장은 “미국, 독일, 중국 등 주요국 모두 IoT를 제조업 경쟁력 제고의 주요수단으로 지목하고, 육성정책을 시행 중이다. 현재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은 IoT 활용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나, 아직 활용도는 미비한 상황으로, 초기 기술 개발 및 투자비용 등에 애로를 겪고 있다. 최근 성장이 둔화된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제조업과 IoT 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