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의사당 야경. <뉴시스>

[시사위크=은진 기자] 20대 국회가 개원하면서 국회 내 당적을 초월한 의원들의 모임 결성도 가속화하고 있다. 의원 연구단체는 국회의원이 소속정당을 떠나 관심 있는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1994년 도입됐다. 무엇보다 여소야대 국회의 화두로 떠오른 ‘협치’를 주도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국회사무처에 따르면 8일 기준으로 등록된 의원 연구단체는 총 7개다. 가장 먼저 등록한 1호 연구단체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대표로 한 ‘한국적 제3의 길’이다. 지난 17대 국회 때부터 이어져 온 이 모임에는 정병국(새누리당)·진영·변재일·김두관·김부겸(더민주)·박지원·이상돈(국민의당) 의원 등이 참여한다.

특히 이목을 끄는 것은 김세연 새누리당 의원이 주도하는 ‘어젠다 2050’이다. 2050년 미래 대한민국을 준비하는 정책과 제도를 함께 만들어가자는 취지에서 결성된 이 모임에는 김종인·조정식·이철희(더민주)·김성식·김관영·오세정(국민의당)·유승민(무소속) 의원 등이 참여한다. 박근혜 대통령과 가까웠다 멀어진 김종인·유승민 의원이 포함돼 있어 정계개편의 주축을 이루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김세연 의원은 모임 결성의 배경에 대해 “중도·보수적 시각에서 교육과 산업의 간격을 줄이는 노력, 복지·고용 분야에 정부 재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세정책의 변화, 복지전달체계 전면 재편 등을 추진할 것”이라며 “개별 정당 단위에서는 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에 각 당에서 정책을 결정하고 뒷받침할 수 있는 분들께 참여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외에도 여러 연구단체가 발족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대 국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공부하는 국회’ ‘일하는 국회’를 기치로 내세우고 있어 의원 연구단체 결성이 더 활발해질 것이라는 게 일각의 전망이다.

하지만 의원 연구단체가 20대 국회에 몰고 올 영향력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소속정당을 초월한 의원들이 모였다고 해서 ‘협치’가 자동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연구단체를 통한 초당적 모임이 결성된 데에는 구성의원 중 다른 교섭단체 소속 국회의원 2인 이상이 포함되어야 하는 연구단체 구성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일 뿐,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실제로 19대 국회 때에는 75개의 연구단체가 활동했음에도 역대 최악의 ‘불통 국회’라는 오명을 벗지 못했다.

연구단체에 지원되는 연구비도 적지 않기 때문에 ‘돈 목적’이라는 비판도 피하기 어렵다. 19대 국회에서는 국회의원 연구단체 지원규정에 따라 총 47억8700만원의 예산이 지원됐다.

‘한국적 제3의 길’에 참여하고 있는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은 연구단체가 정치적인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 “연구모임은 어디까지나 연구모임이고, 저는 연구모임이 정치적인 파급력이 클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일축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