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무총장에서 물러난 권성동 의원이 비대위원들과 오찬을 마치고 밝게 웃으며 자리를 나서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계파전쟁의 승부처로 여겨졌던 권성동 사무총장의 거취문제가 ‘교체’로 결정 났다. 권성동 사무총장의 사퇴를 요구했던 친박계 입장에서 적어도 표면상으로는 승리한 셈이 됐다. 그러나 당초 친박계가 의도했던 ‘잘못된 복당결정’에 따른 ‘문책’이나 ‘경질’은 아니었다. 

권성동 사무총장의 공식적인 교체 이유는 ‘당무 보좌에 대한 견해차’였다. 이는 일괄복당 표결에 대한 책임이나 문책성 경질과는 차원이 다른 결정이다. 비대위 회의를 주재한 김희옥 위원장은 “(사무총장 관련) 여러 이야기가 나오는 걸 알고 있다. (그러나) 제가 사무총장을 교체해야 되겠다고 한 이유는 당무 보좌에 대한 견해차 때문”이라고 못 박았다. 아울러 김희옥 위원장은 “권 사무총장이 많은 노고와 노력을 했다. 전체적으로 이런 결정을 한 데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까지 했다.

◇ ‘복당은 잘한 결정’, 명분 쥐고 물러난 권성동

김 위원장의 양보 때문이었을까. 회의직전까지 “망신만 당할 텐데, (경질표결) 해 보라 그래”라며 격앙됐던 권 사무총장은 “위원장의 뜻을 받들겠다”며 교체방침을 수용했다. 동시에 그는 “비대위가 혁신의 길을 걷고자 무소속 당선자 일괄복당을 결정했고 많은 국민들로부터 잘한 결정이라고 칭찬을 받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일괄복당은 옳은 결정이었으며 자신의 교체는 이와 무관하다는 것을 강조한 셈이다.

이 과정에는 정진석 원내대표의 중재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를 마치고 취재진과 만난 권 사무총장은 “정진석 원내대표의 중재가 있었다. (교체가) 복당결정 때문이 아니라는 의견과 유감 표명을 해서 나의 명예가 회복됐다고 판단했다”고 밝히며 홀가분한 듯이 사라졌다.

▲ 당초 친박계는 유승민 의원 등 무소속 일괄복당 결정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를 위해 대규모 회동을 갖고 위력시위를 벌였으나, 결과적으로 얻은 게 없다는 분석이다. <뉴시스>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자 친박계는 난감한 입장에 처하게 됐다. 궐기의 목적이었던 ‘문책’은커녕 오히려 복당결정이 ‘옳은 판단’으로 사실상 공인돼 버렸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차기 사무총장을 친박계에서 가져갈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 이날 김 비대위원장은 “후임 사무총장의 지명은 그야말로 중립적이고 유능하고 능력있는 인사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설사 사무총장을 친박계가 가져간다한들 전당대회에 유리할 것도 없다는 분석이다.

◇ 권성동은 잘랐는데 막상 얻은 것 없는 친박, ‘브레인 부재’가 원인?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어차피 권 사무총장의 임기는 짧은 시한부였다. 더구나 법사위원장을 맡고 있어 사무총장을 내려놓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사무총장을 잡으면 전당대회를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지 않느냐고 하는데, 그렇게 볼 것도 아니다. 전당대회를 목전에 두고 새롭게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 누가 사무총장을 맡더라도 달라질 것은 크게 없다. 그런 측면에서 권 사무총장은 얻을 거 다 얻어서 나가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처음부터 친박계의 ‘무리수’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괄복당 표결 과정이 매끄러웠던 것은 아니지만, 당헌당규상의 하자는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문제를 사무총장의 거취와 연결시킬 마땅한 ‘명분’을 찾기도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서청원 의원이나 한선교 의원 등 친박중진들이 일찌감치 이 문제에 “개입하지 않겠다”며 선을 그은 이유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무리수를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이른바 ‘친박패권주의’를 그대로 노출했다는 비판이 거세게 터져나오기 때문이다. 당내 계파갈등과 친박계의 ‘유승민 알레르기’만 국민들과 지지층에게 거듭 각인시켰다는 평가다. 일각에서는 친박계의 무모한 액션을 두고 브레인이 없다는 데에서 그 이유를 찾기도 했다.

일간지의 한 고참기자는 “친박계가 다수주류로 힘이 막강한 건 사실이다. 그런데 힘을 주체하지 못하고 건건이 우르르 몰려다니며 과시만 하고 있다”며 “큰 그림을 그리고 단계적으로 추진해나갈 브레인이 없는 것 아닌가 싶다. 지장(智將)은 없고 맹장(猛將)만 있다 보니 이겨도 상처뿐인 승리 아닌가”라고 풀이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