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지대 정계개편설과 관련,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와 김종인 더민주 전 대표의 대담내용이 의미심장하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와 김종인 더민주 전 대표가 개헌과 격차해소 문제 등 현안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4.13 총선에서 여야 대표를 맡아 경쟁을 벌였던 두 사람이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이 의미심장하다. 무엇보다 각 소속정당에서 비주류인 두 사람은 제3지대론의 핵심인물들이다.

김무성 전 대표와 김종인 전 대표의 공감대는 지난 20일 보도된 <동아일보>와의 대담에서 명확하게 확인됐다. 방법론에서 차이는 있지만 차기 대선의 시대정신을 격차해소라고 인식했고, 개헌은 정치발전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봤다.

김무성 전 대표는 “현행 대통령 선거는 민주주의 대통령을 뽑는 게 아니라 왕을 뽑는 제도”라면서 “승자는 천하를 다 얻은 것처럼 생각하고 패자는 망했다고 생각을 하니 바로 불복 선언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각제 요소를 가미한 연정이 필요하다. 계파 패권주의는 권력을 나눠 먹으려는 것으로 결국 부정부패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 제3지대 정계개편 시나리오, ‘개헌’ 매개로 헤쳐모여

특히 김무성 전 대표는 “더민주는 친문 패권주의가 완성단계고 새누리당은 친박 패권주의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고, 이에 대해 김종인 전 대표는 “맞는 얘기다. 특정 세력이 정권을 쟁취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을 봐 왔다. 그런 일이 벌어져선 안 된다”고 공감한 것으로 매체는 전했다. 김무성 전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담보도 소식을 전하며 지지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했다.

두 사람의 공감이 파급력을 갖는 것은 ‘제3지대론’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친박과 친문을 제외한 여야의 비주류가 제3지대에 모인다는 이른바 ‘제3지대’ 시나리오가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한 데 뭉치게 만드는 요소는 ‘개헌’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교롭게도 두 사람의 대담내용과 제3지대 시나리오가 일치되는 측면이 있어, 정계개편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는 시각도 있다.

다만 제3지대론이 과거와 같이 분당과 신당창당의 방식으로는 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민주의 한 전략통은 “선거를 앞둔 이합집산으로 비춰질 염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신당창당 보다는 ‘연정’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이 관계자의 분석이다.

이 대목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2년 임기 개헌대통령’설이다. 이는 역대 대권주자들이 하나 같이 개헌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다른 현안과제에 쫓겨 실천하지 못했다는 점에 착안했다. 개헌의 진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차기 대통령은 2년 임기 동안 개헌작업에 몰두하고, 21대 총선이 있는 해에 개정된 헌법으로 대통령을 새로 뽑자는 제안이다. 소속정당을 떠나 개헌에 공감대만 형성된다면,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게 일부 정치권 관계자들의 얘기다. 또한 독자집권이 사실상 어려운 손학규 전 대표나 이재오 전 의원 등과의 연대도 가능하다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 김무성 전 대표는 “정치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헌밖에 없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국민여론이 잘 형성되면 박근혜 대통령도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고, 김종인 전 대표는 “개헌추진 의원모임에 185명이 찬성했다. 20명만 더 모으면 3분의 2가 넘는다. 정치권이 자발적으로 개헌을 추진한 적이 없다. 개헌특위를 구성해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