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병호 국정원장과 이철우 국회 정보위원장이 15일 국회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씨 피살 사건과 관련해 열린 긴급 정보위원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은진 기자] 국정원은 15일 김정남 피살 사건에 북한 정보당국이 가담한 것으로 추정되며 김정은의 편집광적 성격이 발동된 것으로 보인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북한의 김정남 암살 시도는 2012년에도 있었고 지속적으로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고도 했다.

이병호 국정원장은 이날 오전 긴급 소집된 국회 정보위 간담회에 출석해 “김정남 암살은 김정은 집권 이후 ‘스탠딩 오더’로 반드시 처리해야 되는 명령이었다. 암살 타이밍은 특별한 의미가 없다. 김정남이 김정은의 통치에 위협이 된다는 계산적 행동이라기보다는 김정은의 편집광적 성격이 발동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보고했다.

‘스탠딩 오더’란 명령권자가 어떤 명령을 내리고 나서 직접적으로 “명령을 취소한다”고 거론하지 않는 이상 유효하며, 반드시 수행해야 할 명령을 말한다. 즉 ‘김정남 암살’은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당국이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었던 일종의 프로젝트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철우 정보위원장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간사의 간담회 브리핑에 따르면, 김정남은 2012년 김정은에게 “살려달라”는 내용이 담긴 서신을 발송했다고 전해졌다. 국정원에 따르면 당시 서신에는 “저와 가족에 대한 응징 명령을 취소해주길 바란다. 저희는 갈 곳도 없고 피할 곳도 없다. 도망가는 길은 자살뿐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등의 내용이 담겼다고 한다.

국정원은 김정남 피살 배경에 김정은의 ‘편집증’적 성격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김정남이 김정은 정권에 위협적인 인물도 아니었던 데다 김정남 암살로 중국과의 관계 악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도 암살을 시행에 옮긴 것은 김정은의 개인적인 성향이 반영된 것이라는 얘기다.

김병기 간사는 “중국이 김정남을 보호했기 때문에 (김정남을 암살하면) 당연히 (북중 관계가) 악화될 것이라는 걸 알고 있었는데 이런 행동을 한 것을 보면 계산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관계가) 악화될 것이라는 걸 알면서도 행동하기 때문에 (북한의 행동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얘기”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