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진해운에 대한 법원의 파산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업계는 한진해운 사태가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뉴시스>

[시사위크=강경식 기자] 한진해운 사태가 결국 자발적 파산조치로 이어졌다. 한진해운은 3일 직접 법원에 파산선고신청서를 제출했고 16일 회사 홈페이지의 채권자게시판에 ‘한진해운 회생절차 폐지 결정 공고’를 제외한 다른 정보는 전부 삭제했다. 향후 회생가능성이 없다는 판단에 내린 결정이다.

한진해운이 보유한 남은 자산은 한진해운의 터미널 관리 자회사 한진퍼시픽과 해외사옥 등, 이에 대해 조사기관인 삼일회계법인은 한진해운의 청산가치를 1억7981억원으로 봤지만 주요사업 및 자산매각로 인해 계속기업 가치는 추정이 불가능 하다고 평가했다.

청산할 재산이 많지 않기 때문에 피해는 고스란히 은행과 투자자에 돌아갈 상황이다. 지난 8일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은 "지난해 한진해운에 대한 추가지원 불가 결정을 내린 뒤 약 9000억원의 피해를 봤다"고 밝혔다.

또 거래가 정지됐던 2일 오전에도 한진해운의 주식은 20억원이상 순매수됐다. 개미 투자자들의 큰 손실이 예상된다. 다만 5년 연속 영업손실이 발생해 이달 24일 상장폐지를 앞두고 정리매매에 들어간 프리젠은 15일 454.35% 오른 5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은 한진해운이 제2의 프리젠이 되길 바라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투자자들의 피해 외에도 국적선사가 사라진 여파는 해운관련산업 전반에서 드러나기 시작했다. 화물 검수, 컨테이너차량 운전, 수리·세척 등 관련 업계는 환적화물 감소, 미수채권 등 경영난을 이유로 대규모 인원감축에 돌입했고, 한진해운이 모항으로 삼았던 진해 부산신항 한진해운터미널 인근의 일부 선용품 업체는 운영을 중단했다.

또 장기적으로 국적선사의 부재와 물류비 인상에 따른 수많은 문제가 우려된다. 해운 조사 업체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지난 12월 기준 한국의 컨테이너 수송력은 51만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로 집계됐다. 이는 한진사태 이전 106만TEU에서 59% 급감한 수치다.

수송량의 축소에 따른 문제는 물류비 인상으로 이어진다. 기사회생한 현대해상이 약진하고 있지만 2M가입도 준회원 자격에 머무는 등,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산업계에 한진해운의 공백은 치명적으로 다가온다.

이런 문제는 교역량이 늘어날수록 심화될 조짐이다. 우리나라 수출입화물의 99.7%가 선박 운송에 매달리고 있는 만큼 한진해운 청산 이후 정부 조치에 초미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부는 한진해운 사태와 관련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한 바가 없어 피해자를 양산했다는 비난을 자처하고 있다. 오히려 최순실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에서 한진해운 사태가 최씨가 원인이라는 이슈에 대한 대응에만 적극적이었다는 지적이다.

한편, 한진해운의 정리매매는 오는 23일부터 3월6일까지 이뤄진다. 이때 주권은 소멸되기 때문에 장외거래는 불가능하다. 투자 업계는 이번 정리매매가 한진해운 주식을 처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