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한국당이 7·3 전국당원대표자대회를 앞두고 치열한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친박근혜계로 분류되는 자유한국당 홍문종 의원은 29일, 7·3 전국당원대표자대회를 '친홍(친 홍준표)대 반홍(반 홍준표)간 대결'로 규정했다. <뉴시스>

[시사위크=최영훈 기자] 7·3 전국당원대표자대회를 앞두고 자유한국당 내 친 박근혜계 중진 의원들과 초·재선 의원들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이는 19대 대선 패배 후 시작된 정계 개편 과정에서 차기 당권을 둘러싼 경쟁구도 때문이다. 한국당 차기 당대표가 2018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하는 것을 감안하면 또 다른 ‘공천 학살’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 친박과 비박간 경쟁이 치열하다.

한국당 초선 의원들은 지난 16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계파 패권주의와 선수 우선주의를 배격하고 능력에 따라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며 사실상 친박계 2선 후퇴를 주장했다. 초선의원 모임 간사인 강효상 의원도 지난 23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개인적으로 친박계가 당대표에 나오는 것은 아주 강력히 반대한다”며 “이번 대선(결과)은 도로 친박당이 되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고 입장을 밝혔다.

재선 의원들 역시 29일 국회에서 회동한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새 지도부 구성 과정에서 다선 의원들은 자기희생적 애당심을 발휘해줄 것을 권고한다”며 사실상 친박계 중진 의원들이 2선으로 후퇴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박덕흠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애당심을 갖고 한국당이 처한 입장에서 자중해달라는 요청”이라고 밝혔다. 이장우 의원 역시 “자기 희생을 바탕으로 이 당이 새롭게 가야한다. 이에 중진들이 자기 희생을 먼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친박계 일부 중진의원들이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주장하는 것에 초선 의원들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23일 초선 의원들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회동한 직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과거 회귀식 집단지도체제로의 변경을 반대하고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묵은 것은 토하고 새것은 들이 마신다는 ‘토고납신’의 의지로 오늘부터 이를 실천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당권’에 목 매는 친박

하지만 친박계 일부 중진의원들은 “중진 의원 중심으로 당을 이끌어야 한다”며 집단지도체제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별도로 선출하다보니 최고위 기능이 약해졌고 당내 민주화에도 역행하는 흐름”이라며 이 같은 주장을 펼치고 있다. 특히 집단지도체제로 돌아가는 것을 반대하는 홍준표 전 경남도지사를 두고 “후보가 외국에서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가져야 하는데 페이스북을 통해 계속 대선 이후 당내 상황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썩 좋은 모습이 아니다”고 꼬집었다. 차기 당권을 두고 홍준표 전 경남지사의 도전이 점쳐지는 가운데 사실상 친박계가 ‘견제구’를 날린 셈이다.

차기 당권 도전에 나설 것으로 알려진 친박계 홍문종 의원도 29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는) 친홍(친 홍준표)대 반홍(반 홍준표)의 대결”이라고 규정했다. 홍문종 의원은 초재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친박계 2선 후퇴론’에 대해 “대통령 선거에서 저렇게 패배한 상황에서 중진 의원들이나 이른바 친박이라고 했던 사람들이 책임감을 많이 느끼고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지금은 친박이라는 단어로 어떤 사람을 굴레 씌운다든지 제한 한다든지 할 수 있는 사안들이 많이 남아있지 않다”고 반박했다.

친박계 유기준 의원 역시 집단지도체제에 대해 “현재 당헌당규상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것이 분리돼 있다"며 "1등 되신 분이 당 대표가 되고 다른 분들은 최고위원으로 있으면 당의 인재가 계속해서 당을 이끄는 집단지도체제가 되니 이것이 오히려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처럼 친박계 일부 중진의원들이 집단지도체제 재도입을 주장하는 것은 이른바 ‘당권 갈라먹기’가 가능해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집단지도체제로 돌아갔을 경우 당대표 낙선자들도 최고위원으로 지도부에 합류해 당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집단지도체제 도입 당시 각 최고위원들이 일정 부분 당권을 장악한 상태에서 제각각 목소리를 내 일각에서 ‘봉숭아 학당’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