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29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 참석해 재산 증식 논란과 관련 “위법적 요소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뉴시스>
[시사위크=소미연 기자] 서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총 35억38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본인 명의의 재산은 9억3,288만원이다. 나머지 재산은 부인 오모 씨의 명의다. 결혼한 지 20여년 만에 얻은 고등학생 딸의 예금(2,528만원)을 제외하고 25억4,564만원을 소유하고 있다. 대부분 부동산이다. 약사인 오씨는 임대업에도 수완을 발휘했다. 서훈 후보자는 “위법적 요소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어려운 경제 사정과 젊은이들의 취업난 등으로 인해 괴리감과 거부감이 있다는 점”에서 무거운 마음을 나타냈다. 29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다.

◇ “맞벌이 부부… 재산 증식에 위법 없었다”

청문회는 재산 증식 배경에 집중됐다. 첫째, 부인 오씨가 2012년 5~6월 경기 수원 영통 광교신도시 상가 점포 2곳을 분양받는 과정에서 임대사업자로 등록을 하고, 중소기업시설자금 명목으로 대출을 받은 사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당시 오씨의 예금이 대출받은 금액보다 많은 데다 대출까지 받아서 부동산 임대업을 하는 게 공직자 부인으로서 적절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오씨는 문제가 된 점포 2곳 외에도 경기 분당 등에 4곳의 점포를 소유하고 있다. 기준시가만 23억원에 달한다. 상가에서 월 1,250만원의 월세 수입도 얻고 있다.

이에 대해 서훈 후보자는 퇴직 후 자녀 양육과 노후 생활을 위한 일종의 ‘재테크’라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돈 쓸 기회가 없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본인이 30년 이상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 부인 역시 신혼시절부터 20여년 약국을 경영하며 맞벌이를 했지만, 자녀를 늦게 얻은 만큼 양육비와 교육비가 생각보다 많이 들지 않았다는 얘기다. 하지만 오씨의 재테크는 또 다른 문제를 불러왔다. 카페를 운영하면서 노동법 위반 의혹을 받게 된 것. 서훈 후보자는 이렇다 할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오씨는 2012년 10월부터 서울 종로구 관철동에서 수제파이 전문 카페를 운영 중이다. 고용된 사람은 매니저 1명과 알바생 3명이다. 오씨는 이들의 근로계약서와 4대 사회보험 가입에 대한 취재진의 확인 요청을 거부했다. 개인 인적사항이 있어 공개할 수 없다는 게 이유였다. 4대 보험에 가입이 안 된 사람에 대해선 침묵했다. 취재가 계속되자, 카페는 “옆 점포 공사로 먼지·소음이 발생해 건물주 측이 먼저 2주간 영업을 쉴 것을 제안했다”며 휴업에 들어갔다.

▲ 서훈 후보자는 2006년 국정원 3차장에 임명된 이후 1년 사이 재산이 6억원 넘게 증가한 데 대해 주식시장 증감에 따른 변화일 뿐 “경제행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뉴시스>
둘째, 2006년 11월 국정원 3차장에 임명된 이후 1년 사이 재산이 6억원 넘게 증가한 데 의혹을 샀다. 서훈 후보자는 적극 해명했다. 6억원 가운데 4억5,000만원 정도가 펀드 상승분이라는 것. 나머지는 부동산 공시지가가 올랐다. 도리어 국정원 3차장 직위에서 퇴직할 때는 2억원가량이 줄었다. 서훈 후보자는 “경제행위는 없었다”면서 “주식시장 증감에 따라 변화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셋째, 고액 자문료가 뒷말을 낳았다. 서훈 후보자는 2012년 4월부터 12월까지 KT스카이라이프로부터 월 1,000만원씩 총 9,000만원의 자문료를 받았다. 하지만 채용 과정과 자문 내용이 남아있지 않아 사실상 ‘위인설관’ 아니냐는 비판을 샀다. 공교롭게도 당시 서훈 후보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캠프에서 남북경제연합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패배 후 KT스카이라이프의 자문 역할도 관뒀다. 그러나 서훈 후보자는 “KT스카이라이프가 북한 진출을 오랫동안 준비했다”는 사실과 함께 “나름 충실한 자문을 했다”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병역 문제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으나 쟁점으로 부상하진 않았다. 서훈 후보자는 1975년 6월10일 육군 이병으로 입대한 뒤 이듬해 1월27일 가사 사정을 이유로 전역했다. 당시 행정기관으로부터 매월 일정량의 식량과 연탄 등을 수급 받아야 할 만큼 형편이 어려웠다는 것. 그는 “입대하고 나서 생계유지를 위한 의가사 제대 제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고, 적법한 절차와 사정에 따라 이뤄졌다”면서 “대한민국 남자로서 병역 의무를 끝까지 마치지 못한 데 대해서는 미안함과 죄송함이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