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 후 자유한국당 당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정우택 원내대표와 만난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결국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임명을 강행했다. 예상대로 야권은 거세게 반발했다. 김상조 위원장을 둘러싼 의혹의 진실여부를 떠나 국회가 공전하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긍정적이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이에 당 일각에서는 ‘공동정부’에 대한 아쉬움 섞인 이야기도 나온다.

실제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공동정부’ 구상에 대한 이야기가 끊이지 않았다. 일부 언론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유승민 의원에게 경제부총리를 제안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뿐만 아니라 특정인누구에게 내각 자리를 제안했다는 식의 ‘지라시’가 끊임없이 정치권에서 회자된 바 있다.

그러나 당사자들이 “제안은 없었다”고 부인했고, 야당 지도부들도 “사람 빼가기를 한다”고 반발하면서 공동정부 구성은 유야무야 넘어갔다. 청문회 절차는 아직 남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내각인선을 거의 마무리 하면서 결국 ‘공동정부’는 처음부터 없던 일이 된 상태다.

다만 아쉬움은 적지 않다. 특히 앞으로 남은 인사청문회를 비롯해 추경, 정부개편안 등 야권의 협조가 필요한 사안이 산적하다는 게 문제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인사청문회와 다른 현안들을 연계할 뜻을 밝힌 상태다. 민주당 일각에서 ‘여소야대를 극복하기 위해 공동정부 구성에 기술적으로 접근했었어야 하지 않았느냐’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과거에도 비슷한 사례는 있었다. 김대중 정부는 김종필 총재의 자민련에 내각 지분 일부를 양보, ‘DJP연합’으로 여소야대 정국을 돌파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실패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당시 연정실험은 우리 정치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사석에서 이렇게 말했다. “처음 나온 얘기가 유승민 경제부총리, 안철수 교육부총리, 심상정 노동부 장관이라고 했다. 이렇게 내각이 구성됐다면 국회운영이 쉽게 풀렸을 수 있다. 그런데 내각 자리와 당사자 이름만 언론을 통해서 보도가 되면서 당 지도부 입장에서는 기분이 나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과거 김대중 정부처럼 당에 지분을 넘겨주는 방식이었다면 사정을 달라졌을 수도 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생각이다. “언론을 통해 의사타진을 할 의도가 있었다면, 이름과 직책이 아니라 당과 지분을 말했어야 했다. 예를 들어 국민의당에는 교육, 바른정당에 경제, 정의당에 노동 이렇게 지분을 주고 각 당에서 논의를 통해 인사를 추천하도록 했으면 모양새가 좋았다. 첫 단추를 잘못 꿰어서 (아쉽다.)”

당시 경제부총리 설이 돌던 유승민 의원도 같은 맥락에서 크게 반발한 바 있다. 유 의원 측은 “이런 식의 언론플레이를 지속한다는 것은 정치도의는 물론 상식에도 어긋나는 행동”이라며 “유 의원이 (경제부총리) 제안을 받은 적도 없고 와도 안 받겠다고 했는데, 익명의 민주당 의원을 내세워 보도를 하게하는 저의가 무엇이냐”고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