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3사는 올 상반기 LTE가 적용되지 않은 순수 5G 단독모드 상용화에 나선다./ SK텔레콤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올 상반기 ‘5G 단독모드(SA)’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현재의 5G 네트워크는 LTE 시스템을 일부 공유하는 ‘NSA(LTE 복합 규격)’ 방식이었다.

5G SA 통신은 LTE망과의 연동이 필요없는 순수 5G 통신망을 말한다. 5G NSA 대비 통신 접속 시간이 2배 가량 빠르다. 데이터 처리 효율 역시 3배 정도 높아 AR, VR, 자율주행, 스마트 팩토리 등 차세대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국내 최초로 상용망에서 5G SA 데이터 통신에 성공한 것은 SK텔레콤이다. SK텔레콤 측은 20일 5G SA 서비스 제공 준비를 마쳤다고 전했다. 부산 지역 5G 상용망에서 삼성, 에릭슨 등의 5G 장비를 이용해 5G SA 통신을 구현했다. SK텔레콤은 올해 상반기 중 세계 최초로 5G SA 통신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실제 운용 중인 5G 기지국 기반 5G SA 통신에 성공했다”며 “별도 기지국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5G SA’ 통신으로 진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 박종관 5GX Labs장은 “상용망에서 5G SA 통신에 성공했다는 것은 전체 산업에 혁신과 변화의 기반이 될 진정한 5G 네트워크 상용화가 목전에 있음을 의미한다”며 “SK텔레콤은 고객이 5G 시대를 체감할 수 있도록 최고의 5G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도 상반기 중 5G SA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준비로 분주하다. LG유플러스는 20일 5G SA 표준을 기반으로 제작된 장비들의 연동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5G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1월 5G SA 표준을 기반으로 국내외 대기업 2개사의 신호패킷 처리 코어장비와 5G 기지국 장비 연동 시연에 성공했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 아리아텍과 공동개발한 가입자 정보 관리장비 연동 시연에도 성공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코어 장비의 시그널링과 데이터 처리부를 서로 분리해 데이터 처리부만 고객의 인접지역에 분산 배치할 수 있도록 했다”며 “이를 통해 지연 시간을 최소화 했다”고 강조했다. 

KT 역시 상반기 중 5G SA 서비스 상용화에 나선다. 특히 KT 측은 CUPS 구조 코어장비를 이용한 5G SA와 5G NSA 듀얼모드가 가능한 것을 강조했다. CUPS 구조는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와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분리해 장소에 구분 없이 각각의 장치를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KT 관계자는 “KT는 5G NSA 상용화 시점부터 CUPS 구조 코어장비를 보유하고 있다”며 “SA 전환 시 신규 코어 장비 도입 없이도 SW(소프트웨어) 적용만으로도 SA와 NSA 둘 다 이용 가능한 듀얼모드 지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