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과 정우택 전국위원회 의장 등 참석자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미래통합당 제1차 전국위원회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뉴시스
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과 정우택 전국위원회 의장 등 참석자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열린 미래통합당 제1차 전국위원회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호영 기자  미래통합당이 4·15 총선 참패 후 혼란에 빠진 당을 수습할 해결사로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선택, 비상대책위원회의 지휘봉을 맡기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김 전 위원장이 맡게 될 비대위원장직은 4개월 임시직이어서 그가 직을 수락할지 미지수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수락 조건으로 내년 3월을 요구해왔기 때문이다.

통합당은 28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전국위원회를 열고 김종인 비대위 안건을 통과시켰다. 전국위에는 전체 639명 위원 중 과반인 323명이 참석했고, 이 중 177명이 해당 안건에 찬성표를 던졌다.

전국위 의장을 맡은 정우택 의원은 이날 결과 브리핑을 통해 “원안 찬성 의견이 출석위원 과반을 넘어 이번 비대위원장 임명이 원안 가결됐음을 선포했다"며 “김 전 위원장 임명안은 전국위를 통과했음을 알린다”고 밝혔다.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은 “김 전 위원장에게 투표 내용을 말씀드리고 비대위원장을 수락해 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라며 “수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우여곡절 끝에 추인된 ‘김종인 비대위’의 임기는 당헌당규에 따라 오는 8월 31일 전당대회 전까지로 제한됐다.

앞서 통합당은 전국위 개최 전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차기 전당대회 일정을 못박아 놓은 당헌 규정을 삭제하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의 임기를 넉넉히 보장해주기 위한 취지였다.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은 지난 26일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김종인씨가 제게 밝힌 견해는 아무리 늦어도 2022년 3월 대선 1년 전까지인 내년 3월까지는 대선 승리 준비를 마쳐야 한다고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상임전국위는 재적위원 45명 중 17명만 참석해 의결 정족수인 과반에 미달됐고, 비대위 기한 연장은 자연히 불발됐다. 따라서 김 전 위원장이 ‘반쪽’이 된 비대위원장직을 흔쾌히 수락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실제 김 전 위원장의 비서실장인 최명길 전 의원은 전국위 안건 가결 직후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김 전 위원장이 오늘 통합당 전국위에서 이뤄진 결정을 비대위원장 추대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다소 완곡한 거부 입장을 전했다.

앞서 김 전 위원장은 자신이 비대위를 맡는다면 통합당의 차기 대선 준비까지 책임지겠다는 견해를 거듭 밝혀왔다. 김 전 위원장은 4개월짜리 비대위로는 당 혼란 수습 및 차기 대권 후보를 내세우는데 한계가 크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에 대한 명확한 거부 입장을 밝히지는 않은 만큼, 당 지도부와 의견 조율이 원활히 이뤄질 경우 김종인 비대위가 성사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김 전 위원장은 앞서 지난 총선 총괄선대위원장 영입 당시에도 자신의 통합당 선대위 합류 가능성에 대해 “1%”라고 언급했지만 결국 수락한 바 있다.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원장직 수락 여부와 관계없이 김종인 비대위 자체를 거세게 반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홍준표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상임전국위가 무산됐으면 전국위도 연기해야 하는데 이를 강행해 이례적인 기립투표로 639명 중 177명이 찬성, 겨우 27.7% 지지로 비대위원장을 선출했지만 김종인씨가 즉각 거부했다고 한다”며 “총선을 망친 지도부는 당연히 물러나고 당선자 총회가 전권을 갖고 비대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