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소상공인들을 위한 카카오페이 QR결제 등 사회공헌사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카카오페이>

[시사위크=장민제 기자] 카카오가 올 들어 사회공헌 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올해 초 재단 설립을 시작으로 소상공인을 위한 카카오페이 출시 등 분주한 발걸음이다. 정부와 코드를 맞추기 위한 모습 또는 과거 O2O 사업과정에서 잃었던 사회적 신뢰를 되찾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된다.

3일 카카오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4월 재단법인 '카카오임팩트' 설립 신고 절차를 마쳤다. 카카오와 자회사 카카오M이 공동으로 40억원을 출자했고, 초대 이사장은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맡았다.

구체적인 활동계획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그간 ‘카카오같이가치’ ‘카카오메이커스’ 등에서 담당했던 ‘사회공헌 사업’을 더욱 강화하는 셈이다.

최근엔 정부의 기조에 발맞춘 서비스도 선보이고 있다.

지난 5월말 공개한 소상공인들을 위한 카카오페이 QR결제 서비스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서울페이, 또는 정부가 최근 발표한 ‘수수료 없는 제로페이’와 거의 동일하다. 이는 손님이 결제 시 가게에서 제공하는 QR코드를 찍으면 카카오페이로 계좌이체되는 서비스로, 수수료가 없는 게 특징이다. 특히 카카오는 카카오페이 QR결제 키트를 무료로 공급 중이다.

또 카카오 자회사 키즈노트는 이달 2일 자사 앱 서비스 ‘키즈노트’의 출석부 기능 개선에 착수하기도 했다. 키즈노트는 전국 어린이집·유치원의 80%가 사용 중인 스마트 알람장 앱이다. 추가하려는 내용은 아이의 등원 후 교사가 출결상태를 체크하는 기능이다. 이들은 지난달 동두천의 한 어린이집 차량에서 아이가 방치돼 숨지는 사고를 언급하면서,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이를 두고 카카오가 이미지를 쇄신함과 동시에 정부와 코드 맞추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시선을 보낸다.

실제 카카오는 2015년 카카오택시를 시작으로 대리운전, 헤어숍 등 다양한 O2O(online to offline) 사업을 진행했지만, 거의 모든 영역에서 골목상권 침해논란을 일으켰다. 그 중 카카오택시의 사업영역 확장은 현재도 진행형으로, 정부규제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일각에선 최근 점차 중요도가 강조되는 ESG(사회책임지수)를 의식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ESG는 기업을 환경적(Environmental), 사회적(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한 투자를 의미한다. 미국, 유럽은 물론 일본 및 아시아 등에서 관련 투자가 확대 중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지난해 스튜어드쉽 코드 도입 등으로 관심이 높아지는 중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ESG를 평가하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카카오의 ESG는 2016년 전 항목 B이하, 지난해 지배구조(B+)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환경, 사회)도 B이하를 기록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B+등급이면 ‘양호’를 뜻한다고 보시면 된다”며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B등급 이하는 공개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