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들이 3일 국회 앞 농성 300일을 맞아 문화 예술인들과 연대행동에 나선다. 사진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16년 4월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형제복지원 특별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가운데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 박순이(46) 씨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조나리 기자] 부산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들이 예술인들과 함께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문화행동에 나선다.

‘형제복지원 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예술인 문화행동’은 지난 1일 국회 앞 노숙 농성 300일을 맞아 3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 기자회견 및 각종 문화 행사를 진행한다.

이들은 “피해생존자들은 2012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1인 시위, 국회 앞 농성, 서명운동, 토론회, 국회 공청회, 증언대회, 단식농성, 부산에서 청와대까지 보도행진 등을 해왔다”면서 “그러나 2016년 7월 6일 입법발의 된 형제복지원 법안은 3년째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서 방치된 상태”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예술인들은 더이상 형제복지원 사건을 방치할 수 없어 피해생존자들과 연대하기로 했다”면서 “우리들의 연대는 이제 시작이며, 앞으로 특별법이 제정될 때까지 함께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문화행동에 참여하는 예술인들은 ▲유진규 마임이스트 ▲안계섭 민중가수 ▲강상수 재즈피아니스트 ▲프로젝트 그룹 ‘두시간두시간은네시간’ ▲정자영 미디어 퍼포먼스 아티스트 ▲정순임 광주장애인부모연대 광산구지회장 ▲노승혁 음악가 ▲임인자 예술감독 ▲민중가수 ‘경하와 세민’ ▲김동산 출장작곡가 ▲김신윤주 작가 ▲정자영 작가 ▲김은미 연출가 등이다.

한편 부산 형제복지원 인권유린 사건은 1975년 내무부훈령 410호에 따라 1986아시안게임, 19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정부가 부랑아는 물론 가정이 있는 아이들까지 납치해 폭력과 학대를 저지른 사건이다.

당시 국가로부터 매년 20억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받던 형제복지원은 1987년 한 검사가 산 중턱의 작업장에 감금된 수용자들을 목격하면서 실체가 드러났다. 12년 운영기간 동안 최소 513명이 숨지고 일부는 시신조차 찾지 못했다.

검찰개혁위원회는 이번 주 내로 형제복지원 사건에 대한 비상상고 권고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