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을 넘은 나이에도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일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공동주택에서 근무하는 경비원의 모습. /뉴시스
정년을 넘은 나이에도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일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공동주택에서 근무하는 경비원의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현우진 기자] 누구나 행복한 노후를 꿈꾸지만, 이를 달성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고령인구 통계는 안락한 은퇴자의 삶과는 거리가 멀었다. 일하는 인구는 늘어난 반면 여가생활에서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두드러졌다.

◇ 노인 고용률의 상승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8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5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00년 이후로 55~64세 인구의 고용률이 증가한 것은 물론, 정년을 넘긴 연령대인 65세 이상 인구 또한 고용률이 2010년 29.0%에서 2017년 30.6%로 증가했다.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면 한국의 높은 노인 고용률은 더 두드러진다. 한국의 60~64세 인구 고용률은 60.6%로 스웨덴(68.2%) 다음이며 65~69세 고용률과 70~74세 고용률은 유럽연합 28개 국가 전체보다 높다. 특히 70~74세 고용률(33.1%)은 2위 에스토니아(15.6%)의 두 배가 넘는다. 70대가 되면 고용률이 한 자릿수까지 떨어지는 유럽과 달리 한국은 3분의1이 여전히 일자리에 매달리고 있다는 뜻이다.

근로 능력도 의욕도 생산가능인구(15~64세)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는 고령인구들이 직장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OECD가 작년 11월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66~75세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42.7%로 38개 국가 중 1위였다. 통계청의 이번 조사에서는 응답자(고령인구)의 61.8%가 생활비를 본인 혹은 배우자가 직접 마련한다고 밝혔으며, 지난 7월 발표한 ‘2018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서는 59.0%가 생활비 마련을 이유로 일자리를 찾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노년부양비의 악화와 국민연금의 불안한 미래는 ‘일하는 노인’ 현상을 장기화시킬 요소들이다. 2018년 기준 55~79세 인구 중 45.6%가 연금을 수령하고 있으며 수령비율과 수령액수는 모두 작년보다 늘어났다. 그러나 현재 19.6명인 노년부양비가 2060년에는 82.6명으로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기적으로 연금수령액과 수령인구가 모두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노인 1명을 부양하기 위해 청년인구 1.21명이 일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령인구의 경제활동은 앞으로도 점점 더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 평균수명은 늘어나는데, 삶의 만족도는?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는 가장 먼저 재산, 그 다음으로는 인간관계를 비롯한 주변과의 교류가 뽑힌다. 안타깝게도 ‘2018 고령자 통계’는 국내 노령인구가 금전문제뿐 아니라 사회적 영역에서도 고달픈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한다.

2017년을 기준으로 친구·지인·이웃과 거의 매일 왕래한다는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48.2%였다. 이는 3년 전(52.2%)보다 4.0%p 줄어든 수치다. 인간관계에 대한 고령인구의 만족도 역시 37.8%에 불과해 전체 인구(50.6%)와 큰 차이를 보였다.

여가생활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관측됐다. 고령인구 65.8%가 가장 하고 싶은 여가활동으로 ‘관광여행’을 뽑았지만 실제로 관광여행을 즐겼다고 답한 고령인구는 8.0%(주말 기준)에 불과했다. 고령인구 중 문화예술 및 스포츠를 관람한다는 비율은 24.2%로 2년 전보다 0.3%p 줄었으며,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고령인구의 비율도 동기간 0.3%p 감소했다. 그나마 사회 전반적으로 건강수준이 향상되면서 단체활동(동창회·종교단체 등) 참가율이 높아진 것이 긍정적인 지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