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군사당국이 '9.19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GP(감시초소) 시범철수를 진행하고 있는 15일 강원도 철원지역 중부전선 GP가 철거되고 있다. / 뉴시스
남북 군사당국이 '9.19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GP(감시초소) 시범철수를 진행하고 있는 15일 강원도 철원지역 중부전선 GP가 철거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민우 기자] 남북 군사당국이 오는 12일부터 시범 철수 및 파괴작업을 했던 11개 감시초소(GP)에 대한 상호 검증에 들어간다.

7일 국방부에 따르면, 검증반은 11개조로 남북 각각 77명씩 총 154명으로 현역군인과 민간인으로 구성된다. 각 검증반은 대령급을 반장으로 하며, 검증요원 5명과 촬영요원 2명으로 초소마다 7명씩 투입된다.

국방부는 전날 브리핑을 통해 "각각의 남북 검증반은 상호 합의된 군사분계선 상의 연결지점에서 만난 후 상대측의 안내에 따라 해당 초소 철수현장을 직접 방문해 철수 및 철거 상황을 검증하게 된다"며 "오전에는 우리측이 북측 초소 철수현장을, 오후에는 북측이 우리측 초소 철수현장을 방문한다"고 했다.

아울러 남북 검증반은 상호방문을 위해 남북의 해당 초소를 연결하는 임시 통로도 새롭게 만들 예정이다.

남북은 9·19 남북 군사분야 합의서를 통해 '쌍방은 비무장지대 안에 감시초소(GP)를 전부 철수하기 위한 시범적 조치로 상호 1km 이내 근접해 있는 남북 감시초소들을 완전히 철수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북한은 지난달 해당 지역의 GP 11개 가운데 보존대상 1개를 제외한 10개를 동시에 폭파해 철거했다. 그전까지 쇠망치를 이용해 GP를 철거하던 방식에서 TNT 폭약을 이용해 동시에 파괴했는데, 이를 놓고 우리처럼 굴착기 등을 동원할 여력이 안 됐거나 철거작업 일정을 앞당기기 위해 폭파 방식을 택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번 남북 시범 철수 GP 상호검증 작업은 시설물이 완전히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됐는지, 군사시설로 전용될 수 없도록 불능화됐는지에 중점을 두고 이뤄진다. 특히 지하시설로 구축된 북측 GP의 지하 공간에 대한 검증도 핵심으로 꼽힌다. 다만 북측은 굴착기를 동원한 우리와 달리 폭파 방식으로 GP를 파괴했기 때문에 지하까지 매몰되어 검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