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2월 취업자 증가폭이 26만 명으로 집계되는 등 지난해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뉴시스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2월 취업자 증가폭이 26만 명으로 집계되는 등 지난해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취업자 증가폭은 26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평균 취업자 증가 폭이 9만7,000여명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양호한 수치다. 하지만 60대 이상 연령층에 편중되는 등 고용여건이 나아졌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연령별 취업자 증가폭을 보면, 60대 취업자가 39만7,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20대 취업자도 3만4,000여 명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30~40대 연령에서는 취업자가 각각 11만5,000명, 12만8,000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취업자가 크게 증가한 이유로는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25만 명 규모의 ‘노인 일자리 사업’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통계청도 “노인 일자리 사업에 지원한 사람들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장 행정 등 업종으로 유입되며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고용여건이 개선됐다고 평가하기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실제 실업자 수는 130만3,000명으로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야권은 세금으로 만든 단기 일자리 효과라고 폄하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14일 최고위원회에서 “민간이 만드는 양질의 일자리인 제조업·금융·도소매업은 26만 명 가까이 취업자가 감소했고, 36시간 이상 취업자도 44만3,000명 줄었다”며 “세금으로 만든 단기 땜질용 일자리만 대폭 늘어나 지금 대한민국은 알바천국이 돼 버렸다”고 주장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40대 일자리 감소 폭이 28년 만에 최악”이라며 “허리가 무너졌다”고 규정했다.

바른미래당도 같은 날 김삼화 수석대변인 논평을 통해 “60세 이상 일자리는 부가가치 창출과 관계없는 세금투입으로 만들어진 공공일자리”라며 “문재인 정부가 강조하던 질 좋은 일자리는 급감했고, 어르신들 복지차원으로 만들어진 일자리가 늘어났을 뿐”이라고 평가절하 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