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11일 오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경기도 기독교 교회 지도자 긴급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뉴시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11일 오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경기도 기독교 교회 지도자 긴급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뉴시스

시사위크=김희원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6일 재난기본소득과 관련, 자신을 비판한 일부 언론을 향해 “언론을 빙자한 폭력”, “은폐된 정치”라며 격한 반응을 보였다.

이 지사는 지난 2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비상경제 정국에서 경기도민 1,326만명 모두에게 내달 10만원씩 재난기본소득을 일괄 지급하겠다는 안을 전격 발표했다.

경기도의 이 같은 방침에 대해 장덕천 부천시장은 트위터를 통해 ‘기본소득보다 선택과 집중’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부천 인구 87만명에게 10만원씩을 지급하면 870억원이 소요되는데, 이렇게 하는 것보다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2만여명에게 400만원씩 주는 게 낫다고 본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에 경기도가 부천시민을 빼고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조선일보는 ‘대들면 돈 안준다? 부천만 빼겠다는 이재명’이라는 제목의 기사와 ‘시민 83만명 향해 딴소리하면 돈 안줘, 이게 나라인가’ 제목의 사설을 통해 이 지사를 비판했다.

그러자 이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에 대한 비판 보도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지사는 “있는 사실을 전달하고 공정한 의견을 내는 것(정론직필)이 생명인 언론이 정치적 목적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비판 아닌 비난을 하는 것은 언론을 빙자한 폭력이자 은폐된 정치”라며 “권력과 책임의 양은 동일해야 하는데도, 언론을 빙자한 정치에는 책임을 물을 길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당한 한명의 의견도 끝까지 존중하고 설득하며 시간을 보내도 되는 일상도 있지만, 부당한 소수보다 온당한 다수를 신속하게 선택해야 하는 위기도 있다”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대처는 속도가 생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재난기본소득은 시군을 통해 집행해야 하는데, 도의 결정에 반해 87만 시민에게 지급하지 말고 소상공인 2만명만 골라 400만원씩 몰아주자며 반대하는 부천시가 동의할 때까지 다른 시군에 대한 집행을 지연시킬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는 장덕천 부천시장에 대해서는 “100% 경기도 예산인 재난기본소득을 결정전에 건의하는 것도 아니고 확정된 후에 SNS에 올려 공개 반대하며 부천시장이 고를 2만 소상공인에게 몰아 지급해야 한다는 부천시 주장은 월권이자 도정 방해”라고 비판을 가했다.

이 지사는 “부천시장이 집행하지 않으면 부천시민에게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할 수도 없다. 반대하는데 억지로 지급할 수도 없고, 그래서도 된다”며 “언론보도를 빙자해 ‘부천시장 말 한마디에 87만 부천시민을 왜 빼느냐’, ‘감정적 처사다’라는 주장은 대의민주체제를 부인하는 망언이고 위기에 대응하는 경기도정에 대한 폄훼”라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도의 재난기본소득을 기대하다 혼란을 겪게 된 부천시민들께는 깊은 유감을 표하며, 부천시장께서 입장을 바꾸어 다른 승객들과 함께 가겠다니 당연히 함께 가겠다”며 “다만 구조를 두고 빚어진 혼란에 대해 구조 거부 승객이 아니라 다수 승객의 신속 구조를 위해 최악을 대비하는 선장의 노력을 감정적 갑질로 매도하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온 국민이 불안과 공포에 신음하는 틈을 노려 안 그래도 부른 배를 더 불리려는 소수 기득권자들의 부도덕한 반사회적 행위는 국민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촛불혁명을 일궈 낸 우리 국민은 극단적 이기주의자들의 선동과 모략에 휘둘릴만큼 어리석지 않음을, 언젠가는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묻게 될 것임을 믿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장덕천 부천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제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에 관해 올린 글로 인해 많은 혼란이 발생했다”며 “이렇게 파장이 클 줄 몰랐다”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 장 시장은 “내부적으로 사전에 개진했으면 좋을 제 의견을 외부로 표출해 속도가 필요한 정책들이 영향을 받아 조치가 늦어질 우려가 생겼다”며 “이런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 제 잘못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