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철 회장이 이끄는 대원강업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허재철 회장이 이끄는 대원강업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중견 자동차부품업체 대원강업에서 안타까운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사고가 발생한데다, 노조가 사측의 안전불감증을 근본 원인으로 지적하고 나서 파문이 상당하다. 가뜩이나 고꾸라진 실적과 복잡한 승계문제 등 까다로운 현안이 산적한 대원강업이 거센 후폭풍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대원강업이 죽였다” 노조, 거센 반발

산업현장에서 또 다시 비극적인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은 지난달 27일이다. 대원강업 창원 1공장 판스프링 가공반에서 작업 중이던 A씨가 설비에 끼인 채 발견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숨을 거뒀다.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이 내년 1월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는 민감한 시기에 발생했다. 또한 한국지엠 보령공장에서 같은 유형의 끼임사고로 사망사고가 발생한지 일주일 만에 벌어진 비극이기도 하다.

파문은 거세다. 금속노조는 사고 다음날인 지난달 28일 고용노동부 창원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원강업이 명백한 살인행위를 저질렀다고 규탄하는 한편, 사업주 구속 등 강력한 조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금속노조는 작업표준 상 2인 이상이 작업하도록 돼있음에도 숨진 A씨가 홀로 해당 설비를 담당했으며, 사고를 막을 인체 감지 센서나 설비 중단 비상정지 버튼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난 6월부터 급하게 설치한 안전펜스가 채 완성되지 않았고, 설비 본체 및 주변에 안전 매뉴얼이 부착돼있지 않았으며, 끼임 사고를 방지할 덮개도 설치돼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한 금속노조는 “대원강업 사업주는 수십 년 동안 설비에 문제가 있음을 알고도, 법률에 따른 최소한의 안전조치를 시행하지 않았다”며 “막을 수 있는 죽음을 사측이 저지른 셈”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원강업의 사과와 안전보건관리 책임자 징계, 노동자 의견을 반영한 안전조치 즉각 시행 등을 촉구했다.

이처럼 사망사고 책임론에 휩싸인 대원강업은 가뜩이나 까다로운 현안이 산적한 시점에 거센 후폭풍을 피하기 어렵게 된 모습이다.

차량용 스프링을 주로 생산하는 대원강업은 최근 실적 하락세가 뚜렷하다. 2017년까지만 해도 1조원을 넘겼던 연간 매출액이 2018년과 2019년 1조원 아래로 떨어지더니 지난해에는 8,600억원대로 더욱 감소했다. 또한 연간 영업이익도 △2015년 527억원 △2016년 596억원 △2017년 381억원 △2018년 423억원 △2019년 269억원에 이어 지난해 52억원으로 급감한 바 있다. 올해는 상반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증가세를 보였으나, 15억원의 누적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상태다.

승계문제 역시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삼형제가 공동창업 형태로 설립한 대원강업은 2·3세에 이르면서 지분이 상당히 분산돼있는 상태다.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총 보유 지분이 35.29%인데, 계열사와 임원을 제외한 친인척이 38명에 달할 정도다. 또한 허재철 회장의 뒤를 이어 그의 조카인 허승호 부회장이 후계자 행보를 걷고 있다. 허재철 회장이 70대 중반, 허승호 부회장이 60대에 접어든 만큼 승계문제가 현안으로 꼽힌다.

이처럼 현안이 산적하고 민감한 시기에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원강업 측은 수일이 지나도록 혼란에 빠져있는 모습이다. 대원강업 관계자는 “현재 사고 조사가 진행 중이며 유가족과의 보상 문제 협의 등도 계속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사고와 관련된 사과문 또는 입장이 정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