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사용 플라스틱 2050년까지 100% 재생레진 적용… 폐배터리 재활용도 확대

삼성전자가 2050년까지 탄소 제로화를 추진하는 내용이 담긴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뉴시스
삼성전자가 2050년까지 탄소 제로화를 추진하는 내용이 담긴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삼성전자가 오는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0)화하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

최근 삼성전자는 이 같은 내용 등이 담긴 ‘新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하면서 향후 경영의 패러다임을 ‘친환경 경영’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반도체‧스마트폰‧TV‧가전 등 전자산업 전 영역에서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삼성전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제조기업이다. 

지난 2021년 기준 삼성전자는 총 25.8테라와트시(TWh)의 전력을 사용하고 총 1,700여만톤의 탄소를 배출한 바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공정가스 저감, 폐전자제품 수거‧재활용, 수자원 보존, 오염물질 최소화 등 환경경영 과제에 2030년까지 총 7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 2050년까지 직접·간접 탄소 순배출 제로(0)화… 사용 전력 재생에너지 전환도 추진

먼저 삼성전자는 오는 2050년까지 제품 생산 과정과 사업장 연료 사용으로 발생하는 직접 탄소와 사업장 사용 전력‧스팀 등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기는 간접 탄소 등의 순배출을 제로화하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DX부문(생활가전‧의료기기‧MX‧VD‧네트워크 등)부터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우선 달성한 뒤 DS부문을 포함한 전사는 2050년을 기본 목표로 최대한 조기 달성을 추진한다.

삼성전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직접 배출 감축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공정가스 처리효율을 대폭 개선할 신기술을 개발하고 처리시설을 라인에 확충할 방침이다. 또 LNG 보일러 사용을 줄이기 위해 폐열 활용을 확대하고 전기열원 도입 등도 검토한다.

현재 삼성전자가 직접 배출하는 탄소는 주로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가스와 LNG 등 연료 사용에 따른 것이다. 

이와 함께 전력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간접 배출을 줄이기 위해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구매, 녹색 요금제(Green Pricing), 재생에너지공급계약(PPA), 재생에너지 직접 발전(Direct Generation) 등을 통해 사용 전력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탄소 간접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자율규범)인 RE100에 가입한 바 있다.

또한 삼성전자는 5년 내 모든 해외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추진한다. 서남아와 베트남은 올해 안으로, 중남미는 2025년, 동남아‧CIS‧아프리카는 2027년까지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완료한다.

이미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한 미국‧중국‧유럽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직접 체결하는 재생에너지공급계약(PPA)을 확대할 방침이다.

여기에 DX 부문은 국내외 모두 2027년까지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삼성전자가 제조‧생산하는 반도체에는 초저전력 기술을 적용한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오는 2025년 데이터센터와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의 전력 소비량을 대폭 절감한다는 전략이다.

제품 측면에서는 스마트폰‧TV‧냉장고‧세탁기‧에어컨‧PC‧모니터 등 7대 전자제품의 대표 모델에 저전력 기술을 적용해 2030년 전력소비량을 2019년 동일 성능 모델 대비 평균 30% 개선할 예정이다.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고효율 부품(압축기‧열교환기‧반도체) 적용, AI 절약모드 도입 등 제품의 작동 알고리즘 개선에 나선다.

아울러 2027년까지 모든 업무용 차량(1,500여대)을 100%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삼성전자는 삼성EHS전략연구소가 준비한 탄소 감축성과 인증체제에 참여해 성과를 정확히 측정하고 외부 전문가가 포함된 ‘탄소감축 인증 위원회‘를 구성해 객관적인 점검을 받기로 했다.

삼성전자가 폐배터리 재활용, 플라스틱 재생레진 대체 등 친환경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삼성전자
삼성전자가 폐배터리 재활용, 플라스틱 재생레진 대체 등 친환경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삼성전자

◇ 제품 사용 플라스틱 재생레진 대체 및 폐배터리 광물 추출 등 재활용 체계 구축 

앞으로 삼성전자 제품에 사용 중인 플라스틱 부품은 재생레진으로 대체된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플라스틱 부품의 50%를, 205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부품에 재생레진 적용을 추진한다. 갤럭시 Z 폴드4에 적용된 폐어망을 재활용한 플라스틱 적용 제품도 점차 늘려 간다.

또 2030년까지 삼성전자가 수거한 모든 폐배터리에서 광물을 추출해 재활용하는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폐제품 수거 체계를 현재 50여 개국에서 2030년까지 삼성전자가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모든 나라인 180여 개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2009년 이후 2030년까지 업계 최대인 1,000만톤(누적치), 2050년까지 누적 2,500만톤의 폐전자제품을 수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중고 스마트폰 회수 후 이를 다른 용도로 재사용하는 업사이클링 프로그램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 신기술 적용해 제품 생산 과정서 나오는 대기·수질 오염물질 제거 

반도체 국내 사업장에서는 ‘물 취수량 증가 제로화’를 추진한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반도체 라인 증설로 반도체 사업장의 하루 취수 필요량은 2030년의 경우 현재 대비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용수 재이용을 최대한 늘려 이를 2021년 수준으로 동결하기로 했다.

DX부문은 수처리 시설 고도화로 용수 재이용을 확대하고 2030년까지 글로벌 수자원 발굴 프로젝트와 수질 개선, 하천 복원사업 등을 통해 물 사용량 만큼 100% 사회에 환원할 예정이다.

DS부문(반도체)은 배출하는 대기와 수질의 오염물질을 최소화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대기 및 수질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신기술을 적용해 2040년부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자연상태’로 처리해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동시에 글로벌 환경안전 인증 기관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이 발급하는 폐기물 매립 제로 플래티넘 인증 획득(자원순환율 99.5% 이상)을 2025년 모든 글로벌 사업장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반도체 사업장에는 2030년까지 탄소포집‧활용 기술을 적용한다. 앞서 작년 9월 삼성전자는 반도체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저장하고 이를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탄소 포집·활용 기술을 개발·상용화하기 위해 종합기술원 내 탄소포집연구소를 반도체 업계 최초로 설립했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반도체 제조시설에 탄소 포집‧활용 기술을 적용한 뒤 전사와 협력사까지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또한 미세먼지 감지‧분석‧제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2030년부터 협력사, 버스터미널, 어린이 집 등 지역사회에 이를 활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유망 친환경 기술 발굴 및 해당 분야의 스타트업을 육성‧지원하기 위한 투자도 진행한다. 기술혁신 커뮤니티와 함께 혁신기술 상용화‧보급을 지원해 글로벌 환경난제 해결에 협력할 예정이다.

뿐만아니라 사내외 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C랩에서도 친환경 관련 과제를 적극 발굴해 지원하기로 했다.

삼성전자 측은 “탄소중립 목표를 포함한 환경전략의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해 구체적인 과제별 실행 로드맵을 수립했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대표이사가 주관하는 지속가능경영협의회와 사외이사로 이루어진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통해 이행 경과를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