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식품업계서 연이어 가격인상이발표되고 있다. 내달부터 제과류 및 빙과류뿐만 아니라 음료와 물도 가격이 오를 예정이다. / 뉴시스
최근 식품업계에서 연이어 가격인상을 발표하고 있다. 내달부터 제과류 및 빙과류뿐만 아니라 음료와 물도 가격이 오를 예정이다. / 뉴시스

시사위크=연미선 기자  최근 식품업계가 줄줄이 가격인상을 발표하고 있다. 정부가 지난 12일 주요 식품업체와 간담회를 열고 일부 업체의 가격인상 움직임이 여타 업체의 편승 인상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며 가격인상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으나, 당장 내달부터 빵·과자·아이스크림뿐만 아니라 물·음료 등 전반적인 식·음료 제품 가격이 조정된다.

◇ 빵·과자·아이스크림부터 물까지

롯데제과는 27일 제과류 및 빙과류 등 일부 제품 가격을 내달 1일부터 순차적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제과류 주요 제품으로는 △초코빼빼로와 꼬깔콘이 기존 1,500원에서 1,700원으로 △마가렛트는 기존 3,000원에서 3,300원으로 조정된다. 몽쉘은 기존 192g에서 204g으로 중량을 키우면서 300원 인상될 예정이다.

빙과류 주요 제품으로는 △스크류바‧죠스바가 기존 500원에서 600원으로 △월드콘‧찰떡아이스‧설레임은 기존 1,000원에서 1,200원으로 인상된다. 나뚜루 파인트 제품 10종도 기존 1만2,900원에서 1만4,900원으로 가격이 조정될 예정이다.

해태제과는 포키‧자가비‧구운양파 등 합작사에서 생산하는 3개 제품 가격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해당 제품들은 평균 14.8% 수준으로 가격이 인상된다. 가격 조정 제품은 내달 16일부터 거래처별 순차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파리바게뜨도 내달 2일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인상되는 품목은 95개 품목으로 평균 6.6% 인상된다. 주요 인상 품목은 △후레쉬식빵(대)이 3,200원에서 3,300원 △치즈소시지페스츄리가 2,800원에서 2,900원 △고구마반생크림반케이크가 3만1,000원에서 3만2,000원 등이다.

이 외에도 빙그레는 내달부터 메로나‧비비빅 등 아이스크림 7종의 제품가격을 평균 20% 인상한다. 제주개발공사는 지난 25일 제주삼다수 가격을 내달부터 9.8% 인상한다고 밝혔다.

◇ 줄줄이 이어지는 ‘가격인상’… 소비자는 ‘한숨만’

식품업계는 가격인상을 발표하면서 각종 원부자재 가격 상승뿐만 아니라 인건비‧물류비‧전기요금‧가스요금 등 제반 경비 상승이 누적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영효율화로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작년보다 올해 경제전망이 악화됨에 따라 기업들이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 같다고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새해가 밝자마자 줄줄이 발표되는 가격인상에 식품업계는 비난을 피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식품은 소비자들의 삶과 밀접하기 때문에 가격인상에 대한 체감도도 높을 수밖에 없다. 주요 공공요금도 한 번에 올라 부담이 큰 시기에 기업의 연이은 가격인상 발표는 소비자들의 한숨만 키울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도 식품업계가 연쇄적으로 가격인상을 발표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이은희 교수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이미 작년에도 식품업계들은 가격인상을 많이 해왔다”며 “작년부터 인플레이션이 굉장히 심했고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데 이렇게 너도나도 가격을 올리게 되면 소비자들의 소비는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특히 비슷한 분야의 기업들이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서는 것에 대해서 비판했다. 그는 “1위 업체에서 가격을 올리면 2‧3위 업체들이 덩달아 올리는 경향이 있다”면서 “가격인상 요인이 있다고 무조건 제품 가격을 인상해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방식의 경영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회적 책임에 대해 되짚어볼 때”라고 짚었다.

원부자재 상승에 각종 비용 상승에 원가부담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식품업계의 불만에도 일각에서는 가격인상만이 답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은희 교수는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일단 소비가 활발히 이뤄져서 경제가 돌아가게끔 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식품은 소비자 입장에서 구매 빈도가 굉장히 높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가면 소비자들의 부담은 그 빈도만큼 증가하게 된다. 소비가 위축되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