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연미선 기자  지난해 하나둘씩 제품 가격인상에 나섰던 식품업계는 올해 들어 우후죽순 가격인상을 발표한 바 있다. 과자류나 면류 등에서 시작된 가격인상 기조는 빵‧과자‧아이스크림뿐만 아니라 물과 음료, 시리얼이나 만두 등 대부분의 가공식품으로 확대됐다.

식품기업들은 원부자재 가격 및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제품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각종 원부자재뿐만 아니라 인건비‧물류비 및 가스‧전기요금 등 제반 경비가 상승함에 따라 경영효율화만으로는 원가부담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불만도 나왔다.

다만 최근 식품업계의 실적발표를 살펴보면 대부분 기업들은 매출 및 영업이익 상승으로 실적 축포를 터뜨린 모양새다.

실제로 작년 초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공급망이 위태로워지면서 비용 상승이 크게 있었으므로 수익성 하락을 우려한 식품업계의 가격인상도 이해 못할 일은 아니다. 또한 매출 및 영업이익 상승에는 타 사업부문 성장이나 기저효과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올해 초까지도 ‘감당할 수 없었다’며 가격을 인상한 것과 달리, 지난해 큰 폭의 성장을 이뤘다며 ‘식품 원가 상승을 극복했다’고 말하는 모습이 마냥 긍정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식품은 소비자와 가깝기 때문에 물가 체감도도 높다. 올해 1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5.2%로, 지난해 6%대의 최고점을 찍은 것에 비해서는 많이 낮아졌지만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식품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연평균 5.9%를 기록했다. 특히 가공식품 물가는 소비자물가 최고점을 찍었던 7월 전년동월대비 8.2% △8월 8.4% △9월 8.7% △10월 9.5% △11월 9.4% △12월 10.3% △1월 10.3% 등으로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115.51(2020=100)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부터 정부는 식품업계에 지속적으로 가격인상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하면서 고물가에 기댄 편승 인상을 하지 말 것을 당부해왔다. 설령 불가피한 경우에도 인상 시기를 분산하는 등 물가안정을 위해 노력해달라고도 전했다.

그럼에도 지난 1월 너도나도 제품 가격을 올리는 모습은 아쉬움을 낳았다. 게다가 공공기관의 누적된 적자를 이유로 공공요금이 올해 초에 한꺼번에 오른 상황에서 식품 물가가 연이어 오르니 소비자들은 한숨만 내쉬게 된 것이다.

올해 경기전망은 지난해보다도 부정적이다. 이는 기업에게 불안 심리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가 회복하기 위해서는 민간소비 활성화가 중요하다. 물가 안정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한 이유다.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흐름이 물가 안정을 저해하고 소비 위축을 더 부추기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가격인상이 당장의 매출 상승을 이끌었을지라도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면 부메랑처럼 수익 악화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