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전여빈이 영화 ‘거미집’(감독 김지운)과 함께 한 순간을 떠올렸다. / 바른손이앤에이
배우 전여빈이 영화 ‘거미집’(감독 김지운)과 함께 한 순간을 떠올렸다. / 바른손이앤에이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거미집’을 촬영하면서 매일매일 기쁘고 행복했어요. 스스로도 한 뼘씩 더 나아가는 기분도 들었거든요. 어떤 때는 한계에 부딪히기도 하고 어떤 때는 예상하지 못한 기쁨과 확장의 순간을 누리면서 짜릿한 시간을 보냈죠.”

배우 전여빈이 영화 ‘거미집’(감독 김지운) 현장을 떠올리며 이같이 말했다. ‘거미집’은 1970년대, 다 찍은 영화 ‘거미집’의 결말만 다시 찍으면 걸작이 될 거라 믿는 김열 감독(송강호 분)이 검열과 바뀐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배우, 제작자 등 미치기 일보 직전의 악조건 속에서 촬영을 밀어붙이며 벌어지는 일들을 그린 작품.

영화 속 영화를 만드는 것에 대해 동경을 느꼈다는 전여빈은 ‘거미집’ 제안을 받고 “더할 나위 없이 기뻤다”며 행복한 미소를 지었다.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사람들, 그것을 위해 마음을 모으는 사람들에게 갈망을 느끼고 좋아하는 마음이 있었나 봐요. 그들과 함께 하고 싶고 일원이 되고 싶은 마음. 그러다 정말 바라던 글이 온 거죠. 더할 나위 없이 기뻤어요.”

극 중 전여빈은 재촬영을 밀어붙이는 신성필림 후계자, 재정담당 신미도를 연기했다. 미도는 상황과 무관하게 어떤 장애물도 뚫고 가는 인물이다. 전여빈은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직진하는 캐릭터의 에너지를 그려내며 어디로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는 예측불허 스토리에 힘을 더한다.

“미도에게서 느껴지는 굉장한 에너지가 있었어요. 귀엽고 사랑스러운 불도저 같다는 생각도 했죠. 다소 과격해 보이고 저돌적으로 보이지만 저한테는 그 열정이 예쁘고 사랑스러웠어요. 살아가면서 어떤 것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가질 수 있다는 게 당연한 일인 것 같진 않거든요. 어느 순간에 찾아올지 모르는 일이기도 하고요. 미도는 딱 그런 순간에 직면한 인물이었죠. 어떻게든 미도를 만나고 싶었고 기꺼이 잘 표현해내고 싶었어요.”

미도로 분해 또 한 번 새로운 얼굴을 꺼낸 전여빈. / 바른손이앤에이
미도로 분해 또 한 번 새로운 얼굴을 꺼낸 전여빈. / 바른손이앤에이

대선배 송강호와 호흡을 맞춘 소감도 전했다.

“워낙 후배들에게 용기를 많이 주세요. 송강호 선배의 연기는 정말 어마무시하잖아요. 표현력과 에너지가 정말 대단해요. 현장에서도 그 어느 배우보다 노력하는 분이더라고요.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던지는 분이었어요. 그만한 노력과 결과물을 자꾸 보여주는 선배의 멋진 모습을 보면서 매일매일 반성하기도 했어요. 정말 닮고 싶어요.”

영화 속 여러 악조건 속에서 오직 ‘걸작’을 만들기 위한 감독과 이들의 고군분투는 ‘도대체 영화가 무엇이기에’라는 근원적인 질문과 함께, 시대를 막론한 공감을 안긴다. 전여빈 역시 스스로 많은 질문을 던진 작품이라고 했다.

“‘거미집’을 만들면서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이 많았어요. 김열 감독이 마지막 장면만 바꾸면 걸작이 된다는 믿음을 가지고 모두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감행하잖아요. 스스로를 못살게 굴면서까지 그렇게 해나가는 걸 보면서, 내가 사랑하는 일은 뭘까, 왜 좋아하고 왜 그것에 열정과 시간을 쏟아부을까, 우리가 함께 만드는 영화란 뭘까 등등 많은 질문을 던졌죠. 

답은 내려지지 않았어요. 다만 지금 내가 아주 뜨거운 마음으로 잘 해내고 싶다는 것, 나 자신만큼 소중히 여기고 있고, 이 일을 함께 해나갈 때 아이 같은 기쁨을 느낀다는 것을 또 느꼈죠. 이런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만들어 낸 어떤 것이 부디 아름다운 결과물이 돼 다른 이들에게도 나눈다면 꽤 멋진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하면서요.”

성장을 멈추지 않는 전여빈. / 바른손이앤에이
성장을 멈추지 않는 전여빈. / 바른손이앤에이

전여빈은 2015년 영화 ‘간신’으로 데뷔한 뒤 어느덧 8년 차 배우가 됐다. 영화 ‘죄 많은 소녀’(2018)로 유수의 영화제를 휩쓸며 ‘괴물 신인’으로 주목받은 그는 차근차근 자신만의 필모그래피를 쌓으며 매 순간 성장하고 있다.

“현장에서 만나는 좋은 사람들 덕에 성장해 나가고 있거든요. 배움이 정말 많았어요. 계속 살을 붙여주고 미운 점이나 못난 점도 사랑할 수 있는 씨알을 주기도 하고 혹은 나의 아집이나 고집을 던져버리고 다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완전히 바꿔버리게 하는 날들도 있었죠. 함께 해나가는 일이기 때문에 정말 많은 사람들을 만나는데 그들을 통해 단련되고 흡수하기도 해요. 사람을 만나게 된다는 건 굉장한 의미라고 생각해요. 그런 의미에서 조금 더, 한 걸음이라도 나아가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제 막 걸음마를 뗐을 뿐”이라며 더 다채롭게 채워갈 앞날을 예고한 그는 “인간 전여빈도 잘 돌보려고 한다”는 다짐을 덧붙이기도 했다.

“갓난아기에서 이제 걸음마를 막 하려고 하는 시기가 아닐까 생각해요. 여전히 연기에 대해 갈급함이 있어요. 하지만 그 갈급함 때문에 스스로를 해치지 않으려고 해요. 사랑하는 마음은 여전하지만 이제는 저 자신도 보게 된 거죠. ‘전여빈’이라는 한 인간을 잘 돌보지 않고 들여다보지 않으면 배우라는 일 자체도 잘 해내지 못하게 될 것이고 연기도 잘 수행할 수 없을 거예요. 연기는 배우의 신체와 감성, 심장과 이성까지 모든 것을 동원해서 표현해야 하는 직업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절대로 한 개인의 삶이나 목숨이 간과돼선 안 되죠. 좋은 연기를 하기 위해서는 표현하기 위한 원재료인 ‘나’라는 사람이 소중하구나, 나도 잘 돌봐야만 성립될 수 있구나라는 것을 배우게 됐어요.”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