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 “건설사, 사업 포트폴리오 수정 및 보완 통해 불확실 대비해야”

내년 2/4분기 전후로 건설경기 침체기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 뉴시스
내년 2/4분기 전후로 건설경기 침체기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내년 상반기부터 건설경기가 본격적으로 침체기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따라 미분양 사업장 관리 및 사업 다각화 등 건설사별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건설동향브리핑’을 통해 올해 연말 건설경기가 후퇴기를 겪고 있으며 내년 2/4분기(이하 2분기) 전후 침체기에 진입함에 따라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건산연에 따르면 건축착공면적은 지난 2022년에는 전년 동기 대비 18.1% 감소했고 올해(1~9월)의 경우 작년 같은시기에 비해 40.4% 급감했다. 건산연은 이를 감안해 내년 2/4분기를 전후해서 같은해 연말로 갈수록 점차 감소폭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2022·2023년 건축착공면적 감소로 인해 건설기성은 2024년 6% 내외로 감소하고 감소 기간 역시 1년 이상 지속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했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GDP 대비 건설투자는 GDP의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건설기성의 위축은 건설투자 감소를 뜻한다”면서 “건설기성이 단순히 5% 줄어든다면 GDP는 0.7%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건설투자 감소는 일자리 감소를 의미한다”며 “건설업은 전체 취업자수의 7.4%를 차지하고 있고 취업유발계수는 10.82로 직·간접적으로 국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부연했다.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산업부문에 10억원을 신규 투자할 시 해당 산업을 포함해 모든 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의 수를 뜻한다. 즉 건설업에 10억원을 투자하면 직간접적으로 10.82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건산연은 내년 건설경기 침체를 대비하기 위해 정부가 인프라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건설사들은 미분양 관리 강화와 사업 포트폴리오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설사들이 미분양 사업장을 정리하고 선별 분양을 통해서 현금 유동성을 높여 급변하는 경제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대형 토목사업의 경기부양 영향력이 클 수밖에 없다. 때문에 정부는 내년 공공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집중관리 해야 한다”며 “민간의 건축투자가 부동산 경기에 따른 중·단기적 투자 성향이라면 정부의 토목투자는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장기적 투자의 성격”이라고 밝혔다.

이어 “건설사들은 건축사업의 비중을 낮추고 공공토목·민자사업·해외건설 진출 등 사업 포트폴리오 수정 및 보완을 통해서 불확실성 변수를 최소화해야 한다”며 “더 나아가 단기·중장기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상황에 따라 전략을 수정해 경영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내년 경기를 전망하는 각종 지표가 불확실해짐에 따라 내년 사업전략 수립에 대한 건설사들의 고민이 한 층 더 깊어진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건설사별 인건비·공사비 등 비용 절감이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수익성이 높은 서울·수도권 지역 정비사업 수주전은 더욱 치열해지고 건설사의 해외사업·비주택 부문  진출 등 사업다각화도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