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상호 감독이 넷플릭스 시리즈 ‘선산’으로 글로벌 시청자를 찾았다. / 넷플릭스
연상호 감독이 넷플릭스 시리즈 ‘선산’으로 글로벌 시청자를 찾았다. / 넷플릭스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넷플릭스 시리즈 ‘선산’은 존재조차 잊고 지내던 작은아버지의 죽음 후 남겨진 선산을 상속받게 되면서 불길한 일들이 연속되고 이와 관련된 비밀이 드러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영화 ‘부산행’부터 넷플릭스 시리즈 ‘지옥’, 넷플릭스 영화 ‘정이’ 등의 연상호 감독이 기획과 각본에 참여하고, 영화 ‘부산행’ ‘염력’ ‘반도’ 조감독으로 연상호 감독과 손발을 맞췄던 민홍남 감독이 연출과 각본을 맡아, 한국적이면서도 낯설고 괴이한 이야기를 완성한다. 

특히 매 작품 한국적인 정서를 인류의 보편적인 이야기로 승화시키며 관객을 매료해 온 연상호 감독은 이번 ‘선산’에서는 한국인의 뿌리에 닿아있는 ‘선산’이라는 소재와 악연과 욕망에 얽힌 인물들을 통해 ‘가족이란 무엇인가, 가족의 사랑은 항상 아름다운 것인가’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진한 여운을 선사한다. 

최근 <시사위크>와 만난 연상호 감독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이 출발점인 한국적인 미스터리 스릴러를 만들어 보자는 마음으로 ‘선산’을 작업했다”고 기획의 출발을 전했다. 

연상호 감독이 ‘선산’의 출발을 떠올렸다. / 넷플릭스
연상호 감독이 ‘선산’의 출발을 떠올렸다. / 넷플릭스

-새로운 이야기로 글로벌 시청자와 만나는 소감은. 

“실사 시리즈 중에서 초현실적인 요소가 아예 없는 것은 이번 작품이 처음인 것 같다. 반응이 궁금하기도 하고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기도 하다.”

-이 이야기를 어떻게 떠올리게 됐나. 

“실사 영화를 하면서 만들어온 작품에 가족이라는 소재가 항상 등장하는데 이번 ‘선산’에서는 가족이라는 것이 가진 양면성, 이중성을 제대로 파고 들어가 보고 싶었다. 완전히 가족의 사연, 인물들로만 구성된 작품을 써보자고 생각했다. 윤서하 외에도 건물주도 가족과 연결된 인물이다. 그런 인물이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없는 캐릭터라고 봤고 그런 캐릭터가 만들어가는 이야기가 예측할 수 없는 지점으로 흘러갈 수 있겠다고 생각하며 작업했다.”

-다소 파격적인 설정(결정적 스포일러라 언급은 삼가겠음)도 있다. 이를 통해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무엇인가.

“‘선산’이라는 작품의 초기 아이디어는 선산에 대한 싸움과 시리즈 말미 등장하는 설정이었다. ‘선산’에 대한 이야기를 몇 번 했는데 난색을 표하더라. 아직 한국에서는 만들기 힘들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러다 넷플릭스가 한번 해보자는 이야기가 나와서 하게 됐다. 설정이 자극적인 소재로 소비되길 원한 것은 아니었다. 가족이라는 것이 갖고 있는 이중성이라는 걸 극단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게 뭘까 생각했고, 그것을 자극적인 방식으로 연출하지 않는 게 중요했다.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난 일과 이율배반적인 것들이 부딪혀 나오는 다음 감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것이 이 기획의 핵심이었다고 생각했고 그것에 집중하고자 했다.”

‘선산’에서 몰입도 높은 열연을 보여준 김현주(위)와 박희순(아래 왼쪽), 류경수. / 넷플릭스
‘선산’에서 몰입도 높은 열연을 보여준 김현주(위)와 박희순(아래 왼쪽), 류경수. / 넷플릭스

-무속신앙을 엮은 이유는.

“아주 한국적인 것과 사람이 이성적이지 않게 갑자기 이상한 행동을 하는 그 과정을 정말 좋아한다. 사람을 조종하고 이상한 선택을 하게 만드는 게 종교나 이데올로기라고 생각하는데 그것의 근원을 따져보면 가족이다. 가족과 닮은 뭔가를 찾는다면 그것이 종교라고 봤다. ‘선산’이라고 하는 무드와 가장 잘 결합할 수 있는 종교적인 색채가 액을 막는다든지, 대물림하지 않게 하려고 하는 모습 등의 무속신앙이라고 생각했다.”

-또 한 번 김현주(윤서하 역)를 택했다. 이번 작업은 어땠나. 

“김현주와 ‘지옥’과 ‘정이’를 했고, 이번 ‘선산’과 ‘지옥2’까지 해서 네 작품을 함께 했다. 현장에서 만난 것은 세 작품이다. ‘지옥’ 시즌1을 찍으면서 김현주의 여러 면을 봤다. 그중에서 액션을 잘하는 의외의 모습이 ‘정이’에 반영됐고, 어머니가 화살촉에게 테러를 당한 후 혼자 남겨졌을 때 모습들은 ‘선산’의 윤서하와 맞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김현주와 작업할 때마다 저 사람이 갖고 있는 얼굴이 되게 여러 가지일 수 있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현장에서도 정말 흔들림 없고 철저히 준비해 오는 배우다. 민홍남 감독의 첫 연출작에서 주변의 모든 것을 안정적인 무언가로 채우고 싶은 마음이 컸는데, 그런 측면에서 김현주 이야기를 했고 민홍남 감독도 워낙 좋아했기 때문에 함께 하게 됐다. 김현주가 그동안 정의롭거나 올곧은 역할을 주로 해왔는데, ‘선산’에서는 욕망하고 비굴하고 이런 것들에 대해 진짜 욕심을 갖고 표현해 줘서 또 다른 얼굴을 봤다고 생각한다.” 

연상호 감독이 ‘선산’의 출발을 떠올렸다. / 넷플릭스
연상호 감독이 ‘선산’의 출발을 떠올렸다. / 넷플릭스

-류경수(김영호 역)와 박희순(최성준 역)은 어땠나.

“류경수는 도전을 좋아하는 배우다. 무언가를 표현할 때 두려움이 없다. 김영호는 무언가를 발생시켜야 하는 인물이라서 하나라도 규칙적인 게 있으면 안됐는데 그런 지점을 류경수가 도전적으로 해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배우에게는 굉장히 어려운 캐릭터였을 거다. 현장에는 거의 가지 않았지만 촬영된 걸 봤을 때 김영호가 나오는 장면은 다 재밌더라. 촬영 중간에 한 장면 더 추가해서 찍은 신도 있었다.

박희순은 이야기 전체를 읽는 능력이 대단하다. 대본을 보고 최성준과 박상민(박병은 분)의 관계, 이를테면 인원 감축이 된다, 누가 잘릴지 모른다 등의 설정을 박희순이 이야기해서 반영된 부분이다. 훨씬 더 극적이지 않겠나 이야기를 해줘서 대본을 수정했다. 전체적인 이야기를 보는 감각이 좋다는 느낌을 받았다. 도움이 됐다.” 

-다양한 장르, 형태로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왔는데, 앞서 말했듯 ‘선산’은 초현실적인 요소가 없다는 점에서 기존 작품들과는 또 다른 느낌을 준다. 그런 의미에서 ‘선산’은 감독에게 어떤 작업이었나. 

“윤서하가 마지막에 하는 대사, ‘가족이에요’라는 말이 어떤 뉘앙스를 풍길 것인가가 일종의 질문이었다고 생각하는데, 굉장히 오랜만에 그것에만 집중해서 대본을 쓴 작품이다. 오컬트든, 미스터리 스릴러든 장르성에 집중하기보다 그 질문에만 집중해서 쓴 대본. 그런 지점이 내게 개인적으로 다른 식의 의미를 갖게 하는 것 같다.”

-윤서하의 마지막 대사에서 ‘희망’이 느껴지기도 했다. 의도는 무엇이었나.     

“사실 나는 휴머니즘을 좋아한다. ‘돼지의 왕’이나 ‘사이비’ 같은 경우 막연하게 어두운 작품이라고 이야기하는 분들도 있지만 말미에서는 아주 극단적인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빛나는 휴머니즘이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작품을 할 때 그 순간을 보고 싶은 게 있는 것 같다. ‘선산’이라는 작품을 다 끝내고 공개가 됐을 때 시청자와 같은 환경에서 TV로 시청을 했는데 마지막에 앞서 말한 저 순간을 느꼈다. 윤서하가 대답하는 순간 내가 저걸 보고 싶었던 거구나 싶더라. 극단적으로 어두운 상황에서 더 반짝하고 빛나는 휴머니즘.”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