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 74석에 그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이 돌면서 당은 더욱 뒤숭숭하다. 문안박 연대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당의 인적구성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사진=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ㆍ우승준 기자] 새정치연합 소속의 현역 국회의원 127명의 출신을 분석한 결과, 운동권과 노동계 및 시민단체 출신이 절반을 상회했다. 정당의 추구이념에 따라 특수한 분야나 계층을 대변하는 국회의원이 많은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를 완화해야할 비례대표까지 코드인사가 되고 있어 ‘과도한 편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먼저 시민단체 경력으로 정계에 입문한 사례가 22명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국민의 정부 이후 사회적으로 관심을 모았던 참여연대 등 NGO 단체에서 활동경력을 쌓은 후 참여정부의 관료나 당직을 거쳐 정계에 입문한 사례가 눈에 띄었다. 정청래, 조경태, 조정식, 유승희, 김태년 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 운동권·노동계·인권변호사 출신이 과반수, 경제통은 2명

민주화 투쟁을 했던 운동권 출신 국회의원도 20명 가까이 됐다. 우상호, 이인영, 신계륜, 인재근, 유은혜 의원 등이다. 노동운동 경력 등 노동계 출신 인사도 9명으로 파악됐다. 이미경, 전순옥, 한정애, 김경협 의원 등이 노동계 출신으로 분류된다.

국회가 법을 만드는 기관인 만큼 법조인 출신도 18명으로 적지 않았다. 이 가운데 판사 출신은 추미애 의원과 박범계 의원 2명이었고, 검사 출신은 임내현 의원이 유일했다. 대부분의 법조인 출신 의원들은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시민단체에서 활동한 경력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다.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나 이종걸 원내대표, 최재천 의원과 송호창 의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기업변호사 출신인 이언주 의원이 이례적이다.

보좌관 출신으로 배지를 달거나, 상대적으로 오랜 정당활동을 통해 국회에 입성한 의원은 8명이었다. 대표적으로 설훈, 박지원, 전병헌, 양승조, 서영교, 안규백 의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밖에 공무원 출신이 12명이었고, 언론인 출신이 7명으로 나타났다. 박영선, 박광온, 신경민 의원 등 친숙한 의원들이다.

▲ 새정치연합 의원들을 살펴보니 운동권과 시민단체, 법조계 출신이 과반을 넘고 있어 특정분야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최우선 민생문제인 ‘경제’를 담당할 전문적인 의원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새정치연합 내 경제통이라고 할만한 의원은 경제학 교수 출신의 홍종학 의원과 기재위 공무원 출신인 장병완 의원 정도뿐이다. 언론인 출신인 박영선 의원이 기재위에서 활약하고 있지만, ‘제네럴리스트’에 가깝지 ‘스페셜리스트’라고 보긴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전문용어가 난무하고 복잡한 정부의 거시경제 및 통화정책에 대해 핵심을 찌르는 견제가 가능한 지 의문이다.

◇ 인적 편중 해소하지 못하면 내년 총선 필패

경제뿐만 아니라 공권력이나 국방력에 대한 감시도 문제다. 군인 출신 의원으로는 백군기 의원이 유일하고, 경찰 출신으로는 재보선으로 입성한 권은희 의원이 유일했다. 새정치연합이 가장 경계하는 국정원 출신 의원은 찾아볼 수 없었다. NLL문건과 해킹프로그램 구입사건 등 국정원의 의심스런 행태에도 야당이 계속 끌려가기만 했던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물론 국회의원의 선출은 국민의 선택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구성을 조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비례대표’라는 제도가 존재한다. 특정직군이나 정치적 약자, 혹은 정당의 정책목표에 따라 비례대표 의원은 정당이 임의로 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새정치연합은 노동계·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을 중용하며 균형 잡힌 인적구성과는 다른 길을 걸어왔다.
 
결과는 대다수의 정치권 주요의제에 대해 생산적 대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독재’, ‘장외투쟁’ 등 과거의 프레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안철수 의원이 “낡은 진보를 청산하고 인적혁신을 단행해야한다”고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실제 참여정부 당시 각광받던 386과 486세대들은 50대 중반을 달리고 있고, 이미 새정치연합이 참신한 신인이 부족한 노쇠한 정당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결국 관건은 인적쇄신이다. ‘물갈이’ 차원의 단순 인물교체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계층의 이익을 대변하고 정부의 정책에 생산적 견제가 가능한 균형있는 ‘질적교체’가 있어야 중도층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것. 정부여당의 강한 보수드라이브에 ‘반사적 이익’만을 노린다면 내년 총선은 새정치연합의 존폐위기가 될 것이라는 게 당 안팎의 공통적인 관측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