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증가했다. 사진은 9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19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뉴시스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증가했다. 사진은 9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19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뉴시스

[시사위크=주용현 기자] 공공부문 일자리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생활‧안전 분야의 공공인력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는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가 241만1,000개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16년 대비 4만6,000개 증가한 규모다. 

공공부문 일자리 중 남성의 비중은 2016년 55.6%에서 55%로 낮아졌고, 여성의 경우는 44.4%에서 45%로 높아졌다. 공공인력 중 여성의 비중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2015년 기준 전체 공무원의 여성 평균 비중(58.35%)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30대와 60대 이상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은 소폭 감소했으나, 50대의 비중은 2016년 22.3%에서 0.6%p 늘은 22.9%로 확인됐다. 

기능 부문별로는 교육‧일반공공행정‧국방 분야 일자리가 공공부문 전체 일자리 중 77.1%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안전‧보건‧사회보호 일자리는 2016년 대비 0.6%p 증가한 13.5%로 집계됐다. 

하지만 여전히 소방‧복지‧치안 등 인력이 부족하다고 기재부는 분석했다. 2016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00명 당 소방인력은 0.85명 수준으로 미국(1.1명)과 일본(1.28명)보다 적은 비율이다. 

기재부는 경찰 인력도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부족하다고 봤다. 2015년 기준 한국의 인구 1,000명 당 경찰인력은 2.29명이다. 이는 미국(3.34명)‧프랑스(3.69명)‧영국(3.52명)보다 낮은 비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생활‧안전 등 분야 현장인력 중심으로 공공부문 일자리를 확충 중”이며 “올해도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에 따라 국민생활분야 국가직 공무원을 1만8,000명 충원하고 사회서비스 일자리 9만5,000명 규모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19일 ‘문재인 정부 포용국가 사회정책 추진계획’을 밝혔다. 계획에는 △경찰‧소방공무원 인력 확충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 체계 구축 △사회서비스 공공인프라 구축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이 포함됐다. 

정부는 사회서비스 일자리 수를 2018년 5만6,000개에서 28만4,000개 대폭 늘려, 2022년에는 34만개 규모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은 2022년까지 3만명 늘려, 누적 정규직 전환자 20만5,000명을 목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