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투자증권이 장애인 고용과 비정규직 축소에 다소 미진하다이 일고 있다./IBK투자증권

시사위크=이미정 기자  ‘채용 비리’로 뭇매를 맞은 IBK투자증권의 장애인 고용 실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장애인 고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서다. 여기에 비정규직 축소 역시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나 이목을 끌고 있다.   

◇ 3년 연속 장애인 의무고용 불이행 빈축  

정부는 장애인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 1991년부터 장애인 의무고용제를 도입하고 있다. 이 제도에 따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인력 50인 이상 근로자)는 일정 비율의 장애인을 의무고용해야 한다. 올해부터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공공은 3.2%에서 3.4%로, 민간 2.9%에서 3.1%로 올랐다. 이같은 비율을 지키지 않으면 벌금 성격의 고용 분담금을 내야 한다. 고용노동부는 매년 연말 장애인 고용의무 이행이 저조한 기관·기업의 명단을 공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605개 기관·기업 명단을 공개했다. 

이 가운데 168곳은 3년 연속 장애인 고용 의무 불이행 명단에 올랐다. IBK투자증권도 그 중 하나다. IBK투자증권은 2017년 기준, 정원 601명 중 장애인 직원은 1명에 그쳤다. 의무고용률을 준수하려면 17명을 고용해야 하지만 지키지 않았다. 의무고용률은 0.17%에 그쳤다. 정부가 장애인 고용을 장려해왔지만 IBK투자증권은 3년째 의무고용률을 지키지 못했다.  

물론 이같은 미진한 고용 실태는 IBK투자증권만의 문제는 아니다. 다만 채용 비리 사태로 물의를 일으킨 곳이라는 점에서 더욱 곱지 않는 시선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IBK투자증권은 지난해 11월 채용비리 의혹으로 검찰의 고강도 수사를 받았다. 그 결과 부정채용에 연루된 전·현직 간부 4명이 재판에 넘겨졌다. 점수 조작을 주도한 혐의를 받은 박모 상무는 구속기소됐다. 이들은 2016년~2017년 신입사원 공개채용 과정에서 부정 채용에 간여한 혐의를 받았다. 채용비리로 입사한 이들 가운데는 전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아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검찰은 채용 비리로 불구속기소된 김모 전 부사장에게 징역 1년 6월을 구형했다. 법적으로 준수해야 할 책임 고용은 외면한 채 부정한 채용 특혜를 준 혐의가 드러나면서 기관에 대한 실망감을 키웠다.  

IBK투자증권은 정부의 비정규직 제로화 정책에도 제대로 발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직원(638명) 가운데 기간제근로자(250명)의 비중은 39%에 달한다. 이는 전년 비정규직 비중인 36%보다 3%포인트 확대된 규모다. 2017년 기준 IBK투자증권의 전체 직원(580명) 중 210명이 기간제 근로자였다.  

◇ 지난해 더 늘어난 비정규직 비중  

증권업계는 업 특성상 비정규직 비중이 높은 편이다. 성과에 따라 보수를 가져가는 업 특성상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성과 체계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지원 부서는 실정이 다를 수 있다. 업계에선 정부의 정책 기조에 맟춰 지원 부서에 한해선 비정규직 축소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했다. 반면 IBK투자증권의 지원 부서 비정규직수는 2017년 29명에서 지난해 49명으로 20명 늘었다. 같은 기간 지원 부서 정규직 인력도 15명 증가했지만 비정규직수가 더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비정규직 축소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대해 IBK투자증권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장애인 직원을 4명 채용했다”며 “의무고용률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고용을 확대하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비정규직 축소와 관련해선 “업종 특성상 고연봉 기간제 근로자들이 많은 편”이라며 “지난해에는 인력을 많이 채용하면서 비중에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또한 “지난해 공시 규정이 변경되면서 비등기임원까지 직원 현황에 포함됐다”며 “이에 비등기임원 7명이 비정규직 직원으로 집계되면서 상대적으로 전년보다 비정규직이 늘어난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IBK투자증권 관계자는 “올해는 9명의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며 “이 부분까지 감안하면 비율을 줄어들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IBK투자증권은 채용 비리 사태로 기관 신인도에 큰 타격을 입었다. 기업 이미지 개선이 요구되는 가운데 올해는 사회적 책임 고용과 좋은 일자리 양성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