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3일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으로 김상훈(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의원, 정점식 의원, 김행 전 청와대 대변인, 전주혜 의원, 김종혁 혁신위 대변인, 김병민 전 비상대책위원을 임명했다. /뉴시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3일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으로 김상훈(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의원, 정점식 의원, 김행 전 청와대 대변인, 전주혜 의원, 김종혁 혁신위 대변인, 김병민 전 비상대책위원을 임명했다.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국민의힘이 13일 새 비상대책위원 6명의 인선을 발표하며 ‘정진석 비대위’의 구성을 완료했다. 이 과정에서 비대위원으로 지명된 주기환 전 비대위원이 인선 발표 1시간 30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고, 전주혜 의원이 비대위원으로 선임되는 등 잡음이 일면서 시작부터 순탄치 못한 모양새를 보였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2시 국회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제8차 상임전국위원회를 열고 비대위원 임명 안건을 의결했다. 재적 위원 53명 중 과반인 39명이 출석했고, 이 중 38명이 찬성해 비대위원 인선안을 가결시켰다. 

김상훈 의원(3선·대구 서구), 정점식 의원(재선·경남 통영고성), 김행 전 대통령비서실 대변인, 전주혜(초선·비례대표) 의원, 김종혁 국민의힘 혁신위원회 대변인, 김병민 서울 광진갑 당협위원장 등이 지명직 비대위원으로 임명됐다. 

◇ 주기환 인선·사의표명 과정 매끄럽지 못해

당초 오전에 발표된 명단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주기환 전 비대위원(전 광주시장 후보)도 들어 있었다. 주 전 비대위원은 ‘주호영 비대위’에서도 활동했지만, 지역 안배 차원에서 임명했다고 전해졌다. 

인선이 발표된 지 1시간 30분 만에 박형수 원내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조금 전 1차로 발표한 비대위원 중에 주기환 비대위원께서 정진석 비대위원장께 간곡한 사의를 표명해왔다”며 “사의를 받아들이고 전주혜 의원을 비대위원으로 선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이에 대해 “주 위원이 지역에서 할 일이 좀 많은 상황에서 (서울로) 왔다 갔다 하기가 뭐하다고 고사를 한 셈”이라며 “전 의원도 호남 연고이지 않나. 율사고 지금 필요하고. 그래서 교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주 전 비대위원은 검찰 수사관 출신으로 2003년 광주지검에서 윤 대통령과 함께 근무한 적이 있는 ‘친윤’(친윤석열) 인사다. 대선 뒤에는 주 전 비대위원의 아들이 대통령실 6급 직원으로 채용돼 ‘사적 채용’ 논란이 일기도 했다. 게다가 주 전 비대위원이 ‘주호영 비대위’에 이어 ‘정진석 비대위’에 이름을 올리면서 ‘친윤 2선 후퇴’가 아니라 ‘친윤 색채 강화’라는 해석도 나왔다. 이를 의식한 것인지 주 전 비대위원은 결국 비대위원직을 고사했다. 

하지만 이날 오전 10시 비대위원 인선 발표가 이뤄지고, 오전 11시 30분에 주 전 비대위원의 사의 표명과 이를 수용하는 내용의 브리핑이 이뤄졌다. 새 비대위가 인선을 매끄럽게 조율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주 전 비대위원이 ‘정진석 비대위’에 합류할 경우 ‘친윤 색채 강화’라는 해석이 나오거나, 그의 아들의 ‘사적 채용’ 논란이 다시 주목을 받을 것임을 예상했어야 한다는 의미다. 

◇ ‘정진석 비대위’의 난제

이같이 우여곡절 끝에 ‘정진석 비대위’가 출범했지만 아직 난제는 남아 있다. 이준석 전 대표가 새 비대위에도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법원에 심문기일 연기를 요청했다. 이에 법원은 정진석 비대위 설치 및 비대위원장 임명안 전국위원회 의결 효력정지, 정 비대위원장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 심문 기일을 오는 28일 오전 11시에 열기로 결정했다.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법원은 정당 안에서 자체적으로, 자율적으로 내린 결정에 대해서는 과도한 개입을 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정치의 사법화를 막아달라고 호소했다. 

국민의힘 법률지원단은 법원이 1차 가처분 인용시 지적한 당헌당규 해석 문제를 보완했다며 가처분 기각을 자신하고 있다. 반면 이 전 대표 측은 물론 당 일각에서도 법원이 이 전 대표의 손을 들어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미 ‘주호영 비대위’의 전례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정진석 비대위’는 새로운 지도체제 구성을 위한 차기 전당대회 개최 시점 결정도 내려야 한다. 당권주자들이 차기 전당대회 시점을 두고 다툴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전당대회 개최 일정은 연내, 내년 초, 내년 4월 이후 등 다양한 견해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당권주자들이 이를 두고 치열한 수 싸움을 벌일 경우 비대위에서 중재해야만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