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킹 운영사 비알케이의 이동형 대표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 뉴시스
버거킹 운영사 비알케이의 이동형 대표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뚜렷한 성장세 이면에 수익성, 위생 등의 문제도 끊이지 않고 있는 햄버거 프랜차이즈 버거킹이 국정감사라는 까다로운 자리에 서게 됐다.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본사와 가맹점주간 갈등이 결국 국감으로까지 옮겨가는 모습이다. 1984년 해외 패스트푸드로는 최초로 한국 땅을 밟았던 버거킹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10월을 보내게 됐다.

◇ 가맹점주 향한 갑질 논란, 결국 국감까지

국회 정무위원회는 지난 4일 전체회의를 열고 오는 11일부터 시작하는 국감의 증인 및 참고인 명단을 확정했다. 증인 19명, 참고인 11명 등 총 30명이다.

이 명단엔 햄버거 프랜차이즈 버거킹 운영사인 비케이알의 이동형 대표도 포함돼 눈길을 끈다. 정무위는 이동형 비케이알 대표에 대한 신문요지 및 신청이유를 ‘가맹점주에 대한 갑질’로 명시했다.

올해 들어 수면 위로 떠오르기 시작한 버거킹과 가맹점주와의 갈등은 갈수록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버거킹은 현재 전국에 약 47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인데, 이 중 340여개는 직영점이고 130여개는 가맹점이다.

버거킹을 향해 제기되는 가맹점주에 대한 갑질 지적은 △할인행사 등 프로모션 비용 전가 △무료배달 정책 관련 비용 전가 △과도한 필수품목 지정 및 고가 판매 △필수품목 외 강매 △비합리적인 물류비 부과 등을 골자로 한다.

특히 버거킹 가맹점주 단체는 2018년에도 공정거래위원회에 분쟁조정을 신청해 일부 사안의 경우 합의문까지 작성했지만 버거킹 본사가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양측은 지난 3월 분쟁조정에 나서기도 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고, 버거킹 가맹점주 단체는 지난달 버거킹 본사를 공정위에 신고한 상태다.

이후에도 갈등의 골은 점점 더 깊어지고 있다. 버거킹 본사는 지난달부터 물품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반드시 본사를 방문하도록 변경해 가맹점주들의 반발을 샀다. 또한 지난달 25일부터 실시한 할인행사가 ‘사재기’ 현상으로 조기 종료하는 촌극을 빚으며 역시 가맹점주들로부터 싸늘한 시선을 받았다

이 같은 버거킹 갑질 논란은 국감장에서도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며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동형 비케이알 대표가 증인으로 채택됐을 뿐 아니라, 버거킹 가맹점주 단체 대표도 참고인으로 채택돼 국감장에 설 전망이기 때문이다.

버거킹 입장에선 가뜩이나 뒤숭숭한 가운데 까다로운 상황을 맞게 됐다. 1984년 해외 패스트푸드로는 최초로 한국에 진출한 버거킹은 이후 오랜 세월 동안 업계 내 존재감이 크지 않았지만 최근 10년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여 왔다. 2017년 3,458억원이었던 연간 매출액 규모가 △2018년 4,026억원 △2019년 5,028억원 △2020년 5,713억원 △2021년 6,784억원 △2022년 7,574억원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다만 이러한 성장세 이면엔 수익성, 위생 등의 문제가 지속되며 숙제를 남기고 있기도 하다. 버거킹의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2017년 14억원·-41억원 △2018년 89억원·42억원 △2019년 181억원·58억원 △2020년 81억원·-43억원 △2021년 248억원·120억원 △2022년 78억원·-22억원으로 매출 성장세와 달리 들쭉날쭉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지난달에만 2건의 이물질 논란이 연이어 불거지는 등 품질 논란도 끊이지 않는 모습이다.

한편, 버거킹의 가맹점주에 대한 갑질 논란은 오는 16일로 예정된 공정위 국감을 통해 다뤄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