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영화 중 여성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작품은 영화 ‘교섭’ 단 1편이었다.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상업영화 중 여성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작품은 영화 ‘교섭’ 단 1편이었다.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지난해 한국영화는 여성 주연 활약이 돋보였으나 다른 직종 성비 불균형은 계속됐다. 고예산이 투입된 상업 영화에서는 남성 중심 현상이 지속되면서 여성의 상업 영화 진출, 다양성 재현이 퇴보했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가 7일 발표한 ‘2023년 한국영화 성인지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개봉한 한국 영화 183편 중 여성 감독은 49명(22.8%)이었다. 순제작비 30억원 이상 상업 영화 35편만을 살펴보면 여성 감독은 영화 ‘교섭’ 임순례 감독 단 1명(2.7%)이었다. 

183편 중 여성 제작자는 77명(24.8%), 프로듀서는 71명(31%), 주연은 81명(40.7%), 각본가는 67명(30.7%), 촬영 감독은 18명(8.1%)으로, 전년 대비 감독‧제작자‧각본가가 증가하고 프로듀서‧주연‧촬영 감독은 감소했다. 

상업 영화 35편 중에서는 여성 제작자 22명(23.9%), 여성 프로듀서 13명(23.6%), 여성 주연 9명(25.7%), 여성 각본가 12명(21.8%)이었다. 전년 대비 제작자‧프로듀서‧주연이 증가하고 감독‧각본가 수는 감소했다. 촬영 감독은 지난해에 이어 한 명도 없었다.

지난해 공개된 OTT 오리지널 영화 7편 중 여성 감독과 촬영 감독은 역시 없었다. 제작자는 4명(50%), 여성 프로듀서는 3명(37.5%), 여성 주연은 5명(83.3%), 여성 각본가는 1명(16.7%) 으로, 전년 대비 여성 감독과 각본가 수가 감소한 반면 주연은 크게 늘었다.

팬데믹 이전(2017~2019년)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모든 직종의 성비 불균형이 완화됐으나 순제작비 30억원 이상의 상업 영화에서는 감독, 프로듀서의 빈도와 비율이 줄고 촬영 감독은 단 한 명도 없는 등 불균형이 개선되지 않았다. 

지난해 팬데믹으로 개봉이 늦춰졌던 대작들이 연이어 개봉하며 고예산‧남성 중심의 상업 영화가 주로 극장가를 채웠고 흥행작에도 이름을 올렸다. 최근 몇 년 간 독립‧예술 영화에서 여성 감독의 활약이 돋보이는 것에 비해 고예산‧상업 영화에 참여하는 인력의 성비 불균형은 계속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영화진흥위원회는 “2016년 이후 한국 영화 창작 인력과 서사의 성별 불균형은 다소 개선되는 듯 했으나 팬데믹 이후 퇴보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영화계 전반적인 투자가 축소되고 제작이 위축되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