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신혜선이 영화 ‘용감한 시민’(감독 박진표)으로 돌아왔다. / 마인드마크
배우 신혜선이 영화 ‘용감한 시민’(감독 박진표)으로 돌아왔다. / 마인드마크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배우 신혜선이 영화 ‘용감한 시민’(감독 박진표)으로 관객 앞에 섰다. 데뷔 후 첫 액션에 도전, 또 한 번 자신의 영역을 확장한 그는 “악인이 무릎을 꿇는 판타지를 보여주고 싶었다”고 작품에 임한 이유를 전했다. 

오늘(25일) 개봉한 영화 ‘용감한 시민’은 불의는 못 본 척, 성질은 없는 척, 주먹은 약한 척 살아온 기간제 교사 소시민(신혜선 분)이 선을 넘어버린 안하무인 절대권력 한수강의 악행을 마주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 ‘오늘의 연애’ ‘내 사랑 내 곁에’ ‘그놈 목소리’ 등 로맨스부터 스릴러까지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남다른 통찰력으로 표현하며 폭넓은 연출력을 보여준 박진표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동명의 인기 웹툰을 영화화했다. 

극 중 신혜선은 주인공 소시민을 연기했다. 시민은 정규직 전환을 꿈꾸며 얌전하고 소심하게 살아가는 선생님이지만, 알고 보면 전직 복싱 선수에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불같은 성정을 가진 인물이다.

로맨스부터 코미디, 스릴러까지 다양한 작품을 통해 폭넓은 스펙트럼을 입증한 그는 ‘용감한 시민’을 통해 능청스러운 면모부터 난도 높은 액션까지 완벽 소화하며 ‘소시민’을 더욱 매력적으로 빚어낸다. 

신혜선은 최근 <시사위크>와 만나 또 하나의 도전을 마친 소감부터 캐릭터 구축 과정, 촬영 비하인드 등 ‘용감한 시민’과 함께 한 순간을 돌아봤다. (*해당 기사에는 영화에 대한 약간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신혜선이 캐릭터 구축 과정을 전했다. / 마인드마크
신혜선이 캐릭터 구축 과정을 전했다. / 마인드마크

-시민은 굉장히 멋지고 매력적인 캐릭터였다. 어떻게 표현하고자 했나.  

“시나리오를 처음 읽었을 때 굉장히 구조가 단순하고 명확하다고 느꼈다. 복잡한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에 명확하고 직설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소시민 캐릭터도 어떻게 보면 만화적이라고 느낄 수 있게 직설적으로 성향을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조금은 단순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각성 전과 후 어떻게 차이를 두고자 했나.  

“각성하기 전에는 거창하게 생각하고 계획해서 연기한 것은 아니었다. 그냥 가식적이고 속마음을 숨기고 뭔가 감추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각성 후에는 본연의 모습이 슬슬 나오기 시작하는 거니 진솔한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과장하는 면이 줄어들고 감정이 조금 더 격해지고 솔직해지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초반 시민은 목소리도 자신의 목소리가 아닌 느낌으로 표현하고자 했고, 각성 이후 본연의 색깔로 조금씩 가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첫 액션이었다. 어땠나. 

“액션을 너무 해보고 싶어서 선택한 것이지만 시민이 소화하는 액션양에 비해 내가 할 것은 적었다. 가면을 쓰니까. 내가 다 하는 게 아니니 훈련하고 하면 그 정도는 할 수 있겠지 싶어 나름 부담 없이 시작했는데 막상 액션 스쿨에 가서 훈련을 받으니 가면을 쓰고 하는 합도 다 배워야 했고 기본기가 있어야 해서 훈련은 매한가지더라. 오판했다.(웃음) 그래도 재밌었다. 새로운 경험이었고. 잘 못하니까 그게 걱정됐지만 재밌었다.”

-시민의 트레이드마크 발차기 액션이 인상적이었다. 

“감독님이 레퍼런스로 여러 발차기 액션을 보여줬다. 그 액션만큼은 직접 해야 한다고 부담을 확 줬다.(웃음) 다행히 발레리나 역할을 했던 드라마가 있어서 그때 다리를 찢어놨다. 그때도 굉장히 힘들게 훈련했기 때문에 찢어놓은 다리를 다시 붙이기 아까워 훈련을 통해 붙지 않게 유지하고 있었다. 하하. 다행히 써먹을 수 있었다. 발차기만큼은 정말 자신 있게 할 수 있었다.”

데뷔 후 첫 액션이 도전한 신혜선. / 마인드마크
데뷔 후 첫 액션이 도전한 신혜선. / 마인드마크

-복싱 준비 과정은.  

“진짜 힘들었다. 여자한테 정말 좋은 운동인 것 같다. 팔을 쓸 일이 많이 없고 근육양이 남자에 비해 적은데, 복싱을 하고나니 알통도 생기고 복근도 생겼다. 호흡도 더 깊어지고 여러모로 좋은 게 많더라. 제대로 한 것도 아니고 촬영을 위해 했는데도 그랬다. 왜 좋은 운동이라고 하는지 알겠더라. 그런데 지금은 호로록 빠졌다.(웃음)”  

-시민과 수강의 싸움을 단순히 ‘폭력’이 아닌 링 위에서의 대결로 그려낸 점도 좋았다. 

“맞다. 나도 사각 링 위에서 한 판 뜨자고 하는 게 좋았다. 제자와 선생이라는 설정이 있어 아무래도 조심스러웠는데, 링 위에서 스포츠라고 하니 서로 동등하게 싸운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어떤 분풀이라기보다 훈육으로 느껴지길 바랐다. 진심으로 사과하지 않으면 물리적으로라도 잘못한 사람이 무릎을 꿇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 완전한 권선징악도 좋지만 악을 처단한다기보다 한 사람이 용기를 내고 그 용기가 다른 사람에게도 전파된다는 게 더 중요했다. 사람들이 링 위에 시민을 응원하는데 그 모습이 감독님이 이 영화를 통해 보여주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었다. 내가 낸 용기가 다른 이에게 전파되는 것.” 

신혜선이 작품의 의미를 짚었다. / 마인드마크
신혜선이 작품의 의미를 짚었다. / 마인드마크

-배우는 이 작품을 통해 어떤 용기를 얻었나.    

“살면서 불의를 본 적이 없다. 아름다운 세상에서 살았는지. 그래서 아직 내가 용감한 사람인지 모르겠다. 마음으로는 정말 용감한 사람이고 싶다. 불의를 보면 뛰어가서 맞서고 싶다. 그래서 이 영화가 내게 판타지였다. 어떻게 보면 판타지라는 게 씁쓸하기도 하지만, 현실에서는 시민처럼 때리거나 싸우면 안 되니까. 용기를 얻었다고 한다면 너무 거창한 것 같다. 다만 대리경험을 했으니 그것도 즐거웠고 관객도 그랬으면 좋겠다. 조금 더 용감한 사람이 되게 노력해야겠다.”

-교권 침해, 학교 폭력 등 현실과 맞닿아 있는 소재를 다뤘고 최근 더 주목받고 있는 시기에 영화를 공개하게 됐다. 이 이야기가 어떻게 다가갔으면 하나.  

“영화 준비할 때까지만 해도 만연해있었지만 지금처럼 대두가 된 시기는 아니었다. 일부러 이 시기에 맞춰 개봉하려고 한 것도 아니다. 너무나 큰 사회적 문제이기 때문에 말하기가 조심스럽기도 하다. 영화가 궁극적으로 하고자 했던 이야기는 내 안에 있는 용기를 다시 꺼내는 거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소시민들이 용기를 꺼내보는 것. 나는 이 용기를 숨기고 살지만 영화를 통해 그나마 대리만족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이 주제를 표현하고 풀어내는 방식이 학교였고 그런 설정이 있었던 것인데 지금 시기와 맞게 됐다. 사회를 고발하거나 그런 성격을 띠고 있는 영화는 아니다. 강제로 메시지를 주는 것도 부담스럽다고 생각한다. 그저 판타지로 보는 게 좋을 것 같다. 악인의 무릎을 꿇린다는 판타지를 보여주고 싶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