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정우성이 영화 ‘서울의 봄’으로 관객과 만나고 있다.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배우 정우성이 영화 ‘서울의 봄’으로 관객과 만나고 있다.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시사위크=이영실 기자  배우 정우성은 김성수 감독을 향한 믿음으로 영화 ‘서울의 봄’을 택했다. 끊임없이 의심하게 하고 끝까지 고민하게 하는 현장이지만 그 치열함 끝 비로소 만나는 짜릿한 쾌감을 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정우성 필모그래피에 또 하나의 잊지 못할 캐릭터, 이태신이 추가됐다.

지난달 22일 개봉한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영화 ‘비트’(1997), ‘아수라’(2016) 등을 연출한 김성수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한국 영화 최초로 12‧12 군사반란을 스크린에 펼쳐냈다. 

정우성은 수도 서울을 지키기 위해 반란군과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태신을 연기했다. 이태신은 군사반란에 맞서 흔들리지 않고 ‘나라 지키는 군인’으로서 본연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캐릭터다. 정우성은 부드러움과 강인함을 오가는 폭넓은 스펙트럼으로 나라에 대한 충성심과 신념을 가진 군인 이태신의 모습을 묵직하게 그려내 호평을 얻고 있다.

최근 <시사위크>와 만난 정우성은 ‘서울의 봄’ 출연을 결정한 이유부터 ‘비트’ ‘아수라’ 등에 이어 김성수 감독과 다시 호흡한 소감, 캐릭터 구축 과정, 촬영 비하인드 등 작품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다. 

-처음 완성된 영화를 보고 서 있을 힘이 없을 정도로 굉장히 몰입했다고. 어떤 감정이었나. 

“예전에 ‘아수라’ 편집본을 봤을 때 야구공으로 한 대 맞은 기분이 들었는데, 이번 ‘서울의 봄’에서는 감독님이 만들어 놓은 세계관과 그 정서에 함몰된 기분이 들었다. 감독님이 ‘아수라’ 때처럼 사건보다 그 사건에 놓인 인간의 감정, 선택과 심리에 더 집착했구나 싶더라. ‘서울의 봄’은 역사적 사건이라는 제대로 된 무대 위에 인간 군상을 올려놓고 수없이 많은 인간들이 고민하고 갈등하고 선택하는 것들에 대해 굉장히 냉소적으로 바라봤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에 대한 애정이나 연민, 혹은 불신 등을 다 배제하고 저럴 수도 있고 이럴 수도 있고 그저 선택일 뿐이라고. 하지만 그것을 보고 판단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몫이라고. 본성에 대한 고민, 감정과 정념을 담는 작업들이었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영화를 보고 나서 그 감정이 몰려오면서 기가 빨리는 기분이 들었던 것 같다.”

-‘헌트’ 김정도와 비슷하게 비칠 수 있는 캐릭터라 고민했다고 했다. 그럼에도 출연을 결심한 이유는 무엇인가.  

“제일 중요한 것은 김성수 감독의 작품이기 때문이었다. 정도와 태신이 외형적인 부분이나 한 인물과 대척점에 서 있다는 지점에서 비슷하게 보일 여지가 다분하다고 생각했다. 전혀 다른 인물이지만 이태신을 바라볼 때 저해되는 요소가 아닐까 손해가 되는 선택이 아닐까 감독님에게 말을 했다. 그런데 감독님은 전혀 다를 거라고 했다. 개봉 시기도 완전히 다르니까. 김성수 감독과의 작업에서는 치열함과 그 치열함 속에서 느끼는 쾌감, 만족감이 있다. 김성수 감독의 영화이기 때문에 당연히 결심할 수밖에 없었다.” 

이태신을 매력적으로 빚어낸 정우성.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이태신을 매력적으로 빚어낸 정우성.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김성수 감독과 다섯 번째 호흡이었다. 어땠나. 

“(김성수 감독은) 점점 더 집요해진다. 점점 더 에너지가 넘치는 것 같다. 현장에 임하는 자세, 현장을 즐기는 그 모습이 어린 시절 봤을 때 영감으로 다가왔다. 그렇기 때문에 감독님과의 작업은 늘 즐겁다. 놀랍기도 하다. 지치지 않으니까. ‘서울의 봄’에는 정말 많은 캐릭터가 나오는데 다 살아 있잖나. 작은 역할을 하더라도 그 배우를 계속 관찰하고 캐릭터와 접점을 찾아내서 포착하려고 하는 집요함, 그 에너지에 정말 두손 두발 다 들었다. 영화가 산업화되기 바로 직전 김성수라는 감독이 나타났다. 전성기를 너무 빨리 만난 거다. 이후 제작사를 만들면서 감독으로서 포지셔닝을 포기한 상황을 맞았다가 진짜 하고 싶은 영화만 하겠다고 해서 ‘아수라’가 나오고 ‘서울의 봄’이 나온 거다. 나는 김성수 감독이 김성수다운 영화를 만들고 있고 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다고 생각한다. 늘 믿고 응원해 온 배우다. 다행히 감독님 에너지가 점점 세지는 것 같다. 영화에 대한 집념이라고 해야 하나 더 충만해지고 이 양반 마지막 작품인 것처럼 작업하네라고 느낄 정도로 모든 에너지를 쏟는다. 그 에너지가 고갈이 안 되더라. 그래서 정말 기쁘다.” 

-김성수 감독이 배우 정우성을 떠올리며 이태신의 이미지를 구축했다고 했다. 부담도 됐겠다.  

“부담됐다. 이태신을 준비하면서 감독님이 가장 많이 보내준 영상이 내 인터뷰 모습이었다.  난민 관련 이야기를 하는 뉴스 인터뷰 모습이 담긴 영상을 보내주면서 ‘이태신이 이랬으면 좋겠어’라고 하더라. 그런데 너무 막연하잖나.(웃음) 인터뷰하면서 조심성, 침착함 이런 점을 발견한 것 같다. 어떤 이슈에 대해 전할 때 강요할 수 없고 뭔가 깨우쳐 주는 게 아니잖나. 올곧이 사실을 전달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굉장히 조심스럽다. 그런 자세로 인터뷰하는 모습에서 이태신이라는 사람이 불처럼 폭주하는 사람을 대응하는 모습에 맞지 않을까, 정우성이 이태신을 한다면 조금 더 차분하고 이성적이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했던 것 같다.” 

정우성이 이태신을 만들어간 과정을 떠올렸다.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정우성이 이태신을 만들어간 과정을 떠올렸다.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군인으로서 신념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태신이 참 멋있게 다가왔다. 어떤 인물이었나.

“촬영할 때는 멋있을 거라는 생각을 못했다. 사실 멋이나 의미 이런 것은 타자가 보고 평가해 주는 거다. 스스로가 멋을 의식하는 순간 폼만 남는다. 사실 이태신을 이렇게 멋지게 봐준다는 것에 놀랐다. 이태신의 어떤 모습을 보고 멋지다고 생각하는 걸까 생각해 봤다. 이태신은 그냥 자신의 본분을 지키려고 하는 사람이다. 이태신의 우직함, 책임감을 멋있게 봐주는 것 같다. 나는 시나리오를 보고 이태신이 나약하고 무기력하게 느껴졌다. 전두광은 엄청나게 강렬했다. 글에서도 뜨거움이 느껴졌다. 거기에 반칙이 아닌가 싶을 정도의 분장을 하고 나타나니 그저 타죽지 말아야 하는데 하는 생각이 컸다. 말 안에 내포된 의미, 무엇을 요구하는 인물인지 굉장히 많이 생각하게 한 캐릭터였다.”

-고민이 많았나 보다.

“좋게 봐주고 하지만 나는 이번 영화처럼 내 연기에 대해 의심이 들었던 적은 처음인 것 같다. 맞고 틀리다가 아닌 냉소적인 시선, 어떤 감정 이입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연출을 하다 보니 본성에 대해 굉장히 깊은 탐구가 있어야 했다. 정해져 있는 행위에 있어서, 확실성이 있는 뭔가를 할 때는 덜 불안하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상황이 삶 속에 굉장히 많다. 그런 상황에 내몰린 한 인간의 고뇌를 표현해야 했기 때문에 연기를 하는 정우성으로 빠져나왔을 때는 맞나 계속해서 혼란이 있었다. 감독에게 가장 많이 기댄 캐릭터였다.”

-이태신이 전두광 앞까지 가서 마주하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그때 어떤 심정, 감정으로 연기했나.

“이태신은 결국 자신의 본분, 직무에 최선을 다하려고 하는 인물이잖나. 그런 고단함을 하나하나 넘고 감당하는 캐릭터였다. 그 장면은 그런 이태신의 캐릭터에 완성을 짓는 장면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연기를 할 때는 그런 생각은 하지 않았다. 그저 가서 한마디라도 꼭 해보자, 못볼 수도 있지만 가보는 데까지 가보겠다는 마음으로 바리게이트를 하나하나 넘어갔다.” 

-흰머리는 분장이었나.

“분장이었다. 전두광의 분장에 비하면 나는 그냥 맨몸으로 부딪히는 게 아닌가 할 정도로 큰 도움은 안됐다. 흰머리가 없는 편이다. 그래서 영화 초반 촬영할 때 굉장히 많이 흰머리를 붙였다. 그러다 중반 이후에 흰머리가 나기 시작하더라. 초반에는 없었다. 김성수 감독의 힘이구나 생각했다. 이태신을 연기하면서 흰머리까지 나게 하다니.(웃음)”

쉼 없는 행보로 대중을 만나고 있는 정우성.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쉼 없는 행보로 대중을 만나고 있는 정우성.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황정민과 ‘아수라’ 이후 재회했다. 어땠나. 

“분장을 봤을 때 마주하기 싫더라. 뿜어져 나오는 기세가 굉장하더라. (황)정민 형의 연기를 굉장히 많이 관찰했다. 저 연기에 어떻게 대응하겠다는 것보다 정민 형이 만드는 전두광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했다. 역시 불붙은, 미친 연기를 하더라. 오랜만에 다시 만나게 돼 좋았다. 배우들이 가깝다고 해도 사적인 시간에 보는 게 쉽지 않다. 작품을 할 때 계속 그 세계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그것을 탈피하는 행위가 자연스럽게 되지 않는다. 이번에 다시 만나서 사적인 교감도 하고 오랜만에 홍보 활동도 하고 하면서 만나니 좋더라.” 

-연기 앙상블이 돋보이는 작품이기도 했다. 

“배우가 정말 많이 나오면 독이 될 수 있다. 협주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부산스럽고 산만한 장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감독님이 정말 집요하게, 단 한 순간도 긴장을 놓지 않고 모든 캐릭터를 관찰하며 엄청난 오케스트라를 연주했다고 생각한다. 원래 좋아하고 인정하는 감독이었지만 더욱더 인정하게 됐다.”

-정말 쉼 없는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다음 계획은 무엇인가. 

“지쳐서 쉬려고 한다.(웃음) 오래전부터 준비한 작품이 타이밍이 맞고 준비가 돼서 촬영 스케줄이 된 거였다. ‘보호자’ 촬영하고 ‘고요의 바다’도 마침 결정돼서 현장을 지켰고 ‘고요의 바다’ 끝나고 ‘헌트’도 바로 시작했다. 또 ‘헌트’ 끝날 무렵 ‘서울의 봄’을 촬영했다. 중간중간 수없이 많은 카메오 출연도 했다. 하하. ‘카메오는 이런 거라는 것을 각인시켜 놨다. 드라마도 13년 전부터 쥐고 있었는데 이번에 이렇게 됐다. 어떻게 이렇게 달렸지 싶을 정도다. 이제 한숨 돌리면서 쉬어야겠다.(웃음)”

-‘서울의 봄’이 관객에게 어떤 작품으로 남았으면 하나.

“이태신은 무엇을 강요하거나 자기가 어떤 명분을 앞세워 큰소리로 내비치려하지 않는다. 그런 이태신이기에 더 멋있게 봐줄 수 있는 여지가 있지 않았나 싶다. ‘서울의 봄’도 보는 분들에 따라 각자 의미가 다를 거라고 생각한다. 어떤 의미든 곱씹을 수 있는 영화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