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폐쇄를 선언하자 전북도민들과 노동자들이 철회를 요청하는 집회를 개최하는 모습. /뉴시스
지난해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폐쇄를 선언하자 전북도민들과 노동자들이 철회를 요청하는 집회를 개최하는 모습. /뉴시스

시사위크=정계성 기자  내연기관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밝지 않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대중교통의 발달과 도시지역 교통체증으로 인해 자가용 수요가 줄어들고 있고, 카셰어링 등 공유경제의 확대는 차량소유의 필요성 자체를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기후환경의 변화도 내연기관 차량의 판매를 제한하는 요소다. 세계 자동차 시장의 성장률은 1% 내외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업계가 불황을 맞은 가운데 새로운 혁신기업들이 등장해 시장의 변혁이 진행 중이다. 테슬라와 BYD가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뛰어들었고 구글 등 IT기업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움직임이 적극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우버와 그랩과 같은 O2O 플랫폼 기반 공유이동 서비스는 대중교통과 자가용으로 나눠졌던 기존 자동차 운송시장을 흔들었다.

변화에 맞춰 주요 완성차 회사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GM은 2018년 과잉시설 축소와 함께 2023년 전기차 20종 출시 사업계획을 밝혔고, 자율자동차 스타트업 기업 인수에 들어갔다. 폭스바겐은 2025년 전기차 30종 출시 계획과 함께 대규모 인원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도요타는 2030년 전기차 550만대 생산을 목표로 소프트뱅크와 자율차 조인트벤처(JV)를 설립했다.

이는 자동차 산업 의존도가 큰 국내 경기에 위기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자동차 생산규모 세계 7위 국가로 자동차 산업이 국가 경제의 큰 축을 차지한다. 2018년 기준 생산 193조(제조업 11%), 고용 40만 명(제조업 11%), 수출 640억 달러(전체 11%)를 차지하는 등 통계로도 명확하게 확인된다. 따라서 미래차 전환에 충분히 대비하지 못할 경우 국가 경제성장 엔진이 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와 업계도 위기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대책을 모색해왔다. 아직은 부족하지만 전기수소차 보급이 늘어났고, 정부는 시스템반도체와 바이오헬스 산업에 이어 미래차를 3대 집중육성 산업을 지정해 지원을 약속했다. 이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018년 2월 자율주행차 시승을 시작으로 6월 전기수소차 보급확산 정책방향, 11월 자율주행 규제혁파 로드맵,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순차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발표된 미래차 비전선포도 같은 맥락이다.

긍정적인 것은 미래차 관련 기술에 있어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점이다. 전기차 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배터리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수소차 보급 속도도 빠른 편에 속한다. 특히 세계최초 5G 상용화로 차량통신 분야에서 앞서고 있다는 평가다. 현재 5G는 WAVE 방식과 표준경쟁을 벌이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세계 자동차 산업의 미래차 전환 대변혁은 우리 자동차 산업에게도 큰 위기이자 기회”라며 “이런 흐름 속에서 정부가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2030년 로드맵을 수립해 정부가 발표하고 민간에 방향을 제시하는 비전을 선포하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