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선출된 가운데, 고배를 마신 홍준표 의원 관련주들의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다. /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선출된 가운데, 고배를 마신 홍준표 의원 관련주들의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다. /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제1야당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선출된 가운데, 주식시장에선 또 다시 ‘정치인 테마주’가 요동쳤다. 특히 유력 후보 중 하나였던 홍준표 의원이 고배를 마시면서 ‘홍준표 테마주’는 ‘곤두박질’을 면치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거듭되는 우려와 지적에도 기승을 부리는 이 같은 현상은 본격적인 대선 국면을 맞아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 고배 마신 홍준표, 추락한 테마주

지난 5일,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총장을 제20대 대선후보로 선출했다. 앞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대선후보로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가 선출된데 이어 제1야당 후보까지 확정되면서 넉 달 앞으로 다가온 대선이 본격적인 국면에 접어든 모습이다.

국민의힘의 대선후보 선출은 정치권 못지않게 주식시장에도 상당한 파장을 몰고 왔다. 이른바 ‘정치인 테마주’들이 요동치며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린 것이다. 특히 윤석열 전 총장과 마지막까지 치열한 경합을 펼친 홍준표 의원이 끝내 고배를 마시면서 ‘홍준표 테마주’는 말 그대로 곤두박질치고 있다.

지난 5일 코스닥시장에서 하한가를 기록한 것은 총 4개 기업이었다. 그리고 이 4개 기업은 모두 ‘홍준표 테마주’로 지목되는 곳이었다.

먼저 전날 7,400원으로 장을 마감했던 경남스틸의 주가는 이날 대선후보 발표를 앞두고 9,200원까지 24.3% 치솟았지만, 결과가 발표되자 하한가인 5,180원으로 급락한 채 장을 마쳤다. 불과 몇 시간 사이에 주가가 44% 내려앉은 것이다. 경남스틸의 주가 하락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8일에도 전일 종가 대비 16.22%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티비씨, 한국선재, 삼일 등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장중 한때 3,155원까지 주가가 올랐던 티비씨는 5일 하한가인 1,64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 9월 주가가 각각 1만4,700원, 9,300원까지 치솟았던 한국선재와 삼일 역시 이날 4,740원, 2,955원의 하한가 마감을 면치 못했다. 이들 기업들은 경남스틸과 마찬가지로 8일에도 하락세가 지속됐다.

해당 기업들이 ‘홍준표 테마주’로 지목된 이유는 군색한 수준이다. 경남스틸은 최중경 회장이 경남상공회의소 협의회장으로 재임할 당시 홍준표 경남도지사와 같은 행사에 많이 참석했다는 게 테마주로 지목된 이유였다. 심지어 본사가 홍준표 의원의 고향인 창원에 위치한 점도 이유로 거론되는데, 홍준표 의원의 실제 고향은 창원이 아닌 창녕이며 유년시절은 대구에서 보냈다.

티비씨는 홍준표 의원이 자유한국당 대표이던 시절 공천위원으로 활동했던 배병일 영남대 교수가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라는 점에서 ‘홍준표 테마주’가 됐다. 이에 대해 티비씨는 지난 9월 공시를 통해 “홍준표 의원과 당사는 아무런 사업적 관련성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또한 한국선재는 밀양에 보유 중인 공장 및 토지가 연결고리로 작용했다. 홍준표 의원이 경남도지사 시절 영남권 신공항을 밀양에 짓는 방안을 지지했었다는 점에서다. 삼일은 홍준표 의원 캠프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을 맡은 강석호 전 의원이 고문으로 재직 중인 점이 이유로 지목됐다.

이처럼 실체가 불분명한 ‘정치인 테마주’는 정상적으로 활동 중인 기업을 혼란에 빠뜨릴 뿐 아니라, 일반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기업 오너일가가 ‘정치인 테마주’ 현상을 적극 활용하는 소위 ‘한탕주의’를 낳기도 한다. 모두 주식시장의 질서와 건강한 경제·산업 생태계를 흔드는 일이다.

하지만 거듭되는 우려와 지적에도 ‘정치인 테마주’ 현상은 사안과 인물을 바꿔가며 꾸준히 반복되고 있다. 문제는 정치권의 최대 이벤트라 할 수 있는 대선이 본격적인 국면에 돌입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각 정당 경선 국면에서 나타난 것 이상으로 ‘정치인 테마주’ 현상이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높다. 

물론 관계당국이 이를 마냥 방치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정치인 테마주’를 향한 경종을 꾸준히 울리고 있고, 특정 시기엔 감시 강화를 통해 주가조작 등을 적발하기도 한다. 다만, ‘정치인 테마주’ 현상은 탈법적 측면이 부작용이 심각하고,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다.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