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의 친동생들이 지난해 SM그룹에서 근무하게 되면서 현 정부와 SM그룹의 관계에 의혹의 눈길이 보내지고 있다. /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이낙연 국무총리의 친동생들이 지난해 SM그룹에서 근무하게 되면서 현 정부와 SM그룹의 관계에 의혹의 눈길이 보내지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범찬희 기자  ‘조국 사태’로 인해 정치권이 눈코 뜰 새 없이 돌아가고 있는 가운데, 느닷없이 재계서열 37위 SM그룹에 정재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현 정부 권력서열 1, 2위의 친동생들이 SM그룹 계열사에 근무 중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탐탁치 않은 시선이 보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시사위크>는 일부 언론의 주장대로 SM그룹이 문재인 정부 아래서 승승장구 했는지 여부를 팩트체크한다.

팩트체크 1. 
“권력서열 1·2위 친동생 SM그룹 계열사 근무” → (검증) 사실이나, 취업과정 석연찮아   


언론을 통해 밝혀진 대로 현재 권력서열 탑2의 친동생들이 SM그룹 계열사에 근무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두 명 모두 지난해 SM그룹에 몸담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의 친동생 재익 씨는 지난해 케이엘씨SM 선장으로, 이낙연 국무총리의 친동생 계연 씨는 삼환기업 대표이사에 올랐다. 선박업체 케이엘씨SM은 SM그룹 계열사인 대한해운을 최대주주(62.5%)로 두고 있으며, 중견건설사 삼라기업은 지난해 6월 SM그룹에 편입됐다.

채용 과정에 있어서는 다소 석연치 않은 구석이 엿보인다. 문재익 씨와 이계연 씨는 각각 나이와 경력이라는 걸림돌을 극복하고 재취업 문턱을 넘었다. 재익 씨의 경우 SK해운 등에서 1998년부터 30여년간 선장으로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케이엘씨SM 벌크선 선장으로 채용됐다. SM그룹 관계자는 “지난해 도선사 시험 응시로 인해 선장에 결원이 발생해 새롭게 공모를 했다”면서 “다른 회사의 경우 60세를 정년으로 두고 있지만, 그룹사는 63세를 정년으로 둬 기준에 부합했다”고 말했다. 재익 씨는 환갑이라는 나이를 넘어서도 중견 선박업체 재취업의 문을 넘은 셈이다.

이낙연 총리의 친동생 계연 씨는 보험업 경력을 바탕으로 건설업 대표 자리에 앉는 수완을 발휘했다. 계연 씨는 전남기술보증재단 이사장 등 보험업계에서 20년간 몸담았다. 그러다 지난해 5월 중견건설사인 삼환기업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타 업종에 종사했던 사장이 전혀 없는 건 아니지만, 아무래도 건설이라는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보니 관련 산업에 이해가 밝은 인물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팩트체크 2.
“文정권 비호 아래 승승장구” → (검증) 사실 아닌 부분 많아, 특혜 단정 ‘시기상조’   

특히 일부 보수매체들은 SM그룹이 현 정부의 비호 아래 승승장구 했다며 정경유착을 의심하고 있다. SM그룹 우오현 회장이 문재인 대통령 해외 순방과 각종 청와대 행사에 수차례 초청될 수 있었던 데는 ‘뒷배’가 있었다는 의혹을 보내고 있다. 그러면서 실제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이 크게 늘어 그룹의 성장의 발판이 됐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이 SM그룹 특혜의 근거로 삼고 있는 계열사 실적을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는 사실이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한 보수 일간지는 26일 “2016년 출범 첫해 2,675억원의 매출을 올린 SM상선이 2018년 9,338억원으로 급성장했다”고 보도했다. SM상선은 해양수산부가 무리한 혜택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한국해운연합 회원사다.

매출 자체가 증가한 건 사실에 부합한다. 그러나 이들 금액의 대부분은 매출원가가 차지한다. 매출원가를 제외하면 매출총이익은 같은 기간 420억원에서 278억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심지어 지난해 SM상선은 394억원의 영업손실을 남기며 적자 전환됐다. 부채총계도 60%p 가량 늘어나 220%를 기록했다.

이낙연 총리의 친동생 계연 씨가 대표로 있는 삼환기업도 부진에 허덕이고 있다. 수년째 영업손실을 이어가고 있는 삼환기업은 지난해 역시 흑자 전환에 실패했다. 168억원의 영업손실과 6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남겼다. 연매출마저 거듭해 축소되고 있다. 2016년 3,809억이던 매출은 이듬해 2,661억원이 감소한 뒤 지난해 1,679억원으로 내려앉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