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수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전국위원회,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과 관련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두현 부의장, 서 의장, 정동만 부의장. /뉴시스
서병수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전국위원회,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과 관련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두현 부의장, 서 의장, 정동만 부의장.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에 속도를 내고 있는 국민의힘 내부에서 비대위 형식을 두고 이견이 표출되고 있다. 당이 위기 상황이라는 공통분모는 있지만, 조속한 조기 전당대회를 위한 ‘단기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는 주장과 구조적 문제를 개선할 ‘장기 비대위’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붙으면서다. 후자의 경우는 이준석 대표의 ‘복귀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인 만큼 이견이 쉽게 좁혀지지 않을 전망이다.

3일 국민의힘은 비대위 전환을 위한 상임전국위원회 및 전국위원회를 각각 오는 5일과 오는 9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국위 의장을 맡고 있는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상임전국위원회에서 현재 국민의힘의 상황이 비상상황인지에 대한 유권해석을 할 것”이라며 “전국위를 열어서 당헌 개정안을 의결하고 비상대책위원장을 임명하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의원총회와 비공개 최고위원회 등을 순차적으로 열면서 비대위 체제 전환을 본격화했다.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를 받은 이 대표의 ‘공백’에 더해 최고위원들의 잇따른 사퇴로 인해 사실상 당 지도부가 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모호한 당헌·당규로 인해 해석의 차이는 있지만 일단 당내 분위기는 비대위 전환이라는 큰 흐름에 올라탔다. 사실상 당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대의에 일정부분 공감하면서다.

그러나 ‘불씨’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당장 비대위 ‘성격’을 둘러싼 기 싸움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비대위가 차기 지도체제 구축을 전제로 하는 만큼 빠른 시일 내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는 입장과 비대위를 통해 당내 구조적 문제 등 전반적인 혁신을 다뤄야 한다는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이렇다 보니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는 이들은 ‘단기 비대위’를, 혁신을 주장하는 이들은 ‘장기 비대위’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단기 비대위에 목소리를 높인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그 공백 과정을 최소화·최단기화 시켜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가 정말 비상한 각오로 이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선 당을 정상화 시켜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비대위로 빨리 전환하자 이렇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내에서 ‘9월 말 10월 초’ 비대위 운영에 대해선 “그런 의견도 당내에 많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이러한 ‘단기 비대위’에 대한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내 혼란이 가중될 것이란 명분을 앞세우고 있지만, 사실상 이 경우는 이 대표의 복귀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이들은 이 대표의 복귀를 염두에 둔 비대위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 힘을 싣고 있다. 이 대표의 징계가 풀리는 내년 1월까지는 비대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 서병수, ‘이준석 복귀 불가’ 해석… 당내 일각 ′반발′

이런 가운데, 전국위 의장을 맡고 있는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은 비대위 체제 전환 후 이 대표의 복귀가 불가능하다는 해석을 내놨다. 서 의원은 이날 기자들의 질문에 “당헌‧당규상에는 비대위가 출범을 하게 되면 최고지도부가 해산하도록 돼 있다”며 “자동적으로 이 대표 권한도 없어지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이번 비대위 후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당 대표에 대해서도 “저희가 해석하는 바로는 2년 임기를 가진 온전한 지도부”라고 말했다.

사실상 이 대표의 복귀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모양새인 만큼 당내 반발은 거세다. 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현 당헌‧당규대로라면 애당초 비대위 출범은 불가능”이라며 “당헌‧당규를 고쳐야 비대위 출범이 가능하다는 것도 이 때문인데, 당헌‧당규를 개정할 때 이 대표가 5개월 후 복귀할 수 있는 근거 조항을 만들면 된다”고 강조했다.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혁신위원회 전 기자들을 만나 “비대위가 출범하면 지도부가 없어지는 게 아니라 기능이 상실 상태가 되는 것”이라며 “당 대표는 법적으로 살아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렇다 보니 당내 논란도 쉬이 가라앉지 않을 조짐이다. 사실상 비대위의 형식을 결정할 책임이 현재 당 지도부에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서 의원은 이날 “지도부가 책임을 지고 성격을 규정해야 하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빠른 시간 안에 비대위 성격과 기간을 분명하게 규정해 주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고위의 의결 과정을 두고 ′절차적 정당성′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른 만큼, 이번에도 이러한 정당성 논란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비상이 아니라고 해서 지난 3주 동안 이준석은 지역 돌면서 당원 만난 것밖에 없는데 그사이 끼리끼리 이준석 욕하다 문자 카메라 찍히고 지지율 떨어지니 내놓은 해법은 이준석 복귀를 막는다는 판단”이라며 “용피셜하게 우리 당은 비상사태가 아니다. 내부 총질하던 당 대표가 바뀌니 참 달라졌고 참 잘하는 당 아닌가”라며 비꼬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