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의 올해 최대 목표 및 당면과제는 점유율 확대가 될 전망이다. / 뉴시스
빗썸의 올해 최대 목표 및 당면과제는 점유율 확대가 될 전망이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새해 들어서도 점유율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행한 수수료 전면 무료화 정책을 지속하고 있을 뿐 아니라, 거래금액에 대해 연 10%를 포인트로 되돌려주는 또 하나의 이벤트를 꺼내들었다. 하지만 일각에선 빗썸의 이 같은 행보가 미봉책에 불과하며 향후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 및 우려도 가시지 않는다.

◇ 점유율 올리기 총력… 한편으론 수수료 무료화 둘러싼 우려

빗썸은 18일, 창립 10주년을 맞아 포인트 적립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신청일부터 신규 순입금액으로 가상자산을 거래하면, 누적 거래금액에 대해 연 10%를 포인트로 적립해주는 이벤트다. 신청은 18일부터 오는 24일까지 받는다.

이 같은 이벤트는 점유율 확대를 도모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빗썸은 지난해 10월부터 거래수수료를 전면 무료화라는 파격적인 정책을 시행하는 등 점유율 확대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온 바 있다.

2024년 새해 역시 최대 목표 및 당면과제는 점유율 확대다. 특히 수익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닌 거래수수료를 포기하는 초강수를 던지고 있는 만큼, 올해는 뚜렷한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연초부터 연 10%라는 높은 포인트 적립 이벤트를 실시하고 나선 것도 이러한 상황과 직결된다.

빗썸은 이미 지난해 말 유의미한 성과를 도출하기도 했다. 한자릿수까지 떨어졌던 점유율이 30~40%대로 껑충 뛰었을 뿐 아니라, 지난해 12월 말에는 잠시나마 점유율 1위 자리를 탈환하기까지 했다. 빗썸의 1위 탈환은 무려 4년 만의 일로, 업계의 큰 주목을 끌었다.

하지만 한편으론 우려의 시선도 가시지 않는다. 점유율 확대를 위한 빗썸의 핵심 전략이 수익을 포기하는 다소 극단적인 형태이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나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 등을 바탕으로 점유율 확대를 추구하는 것이 아닌 제살 깎아먹기 식의 미봉책이란 지적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빗썸의 수수료 전면 무료화 정책은 지속불가능한 성격이 짙다. 수익을 포기하는 전략을 언제까지나 지속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다. 따라서 적정 기한 내에 일정 수준 이상의 점유율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빗썸에게 가장 이상적인 성과라 할 수 있는데, 업계 경쟁이 치열한 만큼 이를 장담하긴 어렵다.

오히려 부메랑이 돼 돌아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우선, 빗썸이 가장 먼저 추진하고 나선 수수료 전면 무료화 전략은 업계 내 출혈경쟁을 촉발시켰다. 빗썸 외에도 코빗과 고팍스 등이 뒤따라 수수료 무료 정책을 시행 중이다. 물론 이들 역시 수수료 무료화 정책을 지속해나가는 건 불가능하다. 결국 누가 더 오래 버티느냐의 싸움이 될 수밖에 없다. 

설사 당장은 성과를 낸다 해도 향후 점유율이 떨어지면 수수료 무료 정책으로 경쟁사의 점유율을 빼앗아오는 양상이 업계에 자리 잡아 ‘출혈경쟁의 악순환’이 이어질 우려가 제기된다. 빗썸이 출혈을 감수하고 경쟁사의 점유율을 빼앗아왔듯, 이후 경쟁사가 같은 방식으로 빗썸의 점유율을 빼앗아갈 가능성 또한 충분한 것이다.

수수료 무료화 정책 종료 이후 ‘역풍’에 직면할 우려 또한 존재한다. 수수료를 다시 부과하는데 따른 고객들의 반발 및 이탈이 나타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정 수수료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질 수도 있다. 

특히 출혈경쟁으로 점유율을 끌어 모은 뒤 수수료를 높여 결과적으로 공정한 시장질서 및 소비자 선택권을 훼손시킨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상당한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른 업계를 향한 지적이었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돈을 거의 안 받거나 아주 낮은 가격으로 경쟁자를 다 없애버리고 유입시켜 시장을 장악한 다음 독점이 됐을 때 가격을 올려서 받는 부도덕한 행태에 대해서는 반드시 정부가 제재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실제 빗썸은 이러한 측면에서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된 상태이기도 하다. ‘공정한 가상자산 시장을 위한 투자자 모임’은 빗썸의 수수료 무료화 정책이 ‘부당염매’에 해당한다며 지난해 12월 공정위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승부수를 던진 빗썸이 올해 원만하게 목표한 바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