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전국 아파트 2,000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 실태조사에 나선다. 사진은 지난 6월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와 공정경쟁민생본부, 라돈피해 동탄지역 아파트 입주민들이 포스코 공동주택 라돈실태 고발 및 피해 상담창구 운영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뉴시스
환경부가 전국 아파트 2,000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 실태조사에 나선다. 사진은 지난 6월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와 공정경쟁민생본부, 라돈피해 동탄지역 아파트 입주민들이 포스코 공동주택 라돈실태 고발 및 피해 상담창구 운영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뉴시스

시사위크=서종규 기자  정부가 전국 아파트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 실태조사에 나선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2월부터 4개월 간 전국 아파트 2,000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지난 28일 밝혔다.

그간 실내 라돈 농도 조사는 2011년부터 2년 주기로 실시해 왔으나, 2014년부터는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단독주택의 평균 라돈 농도가 공동주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등을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를 조사한 결과, 단독주택의 평균농도(112.8Bq/m3)가 공동주택의 평균농도(66.4Bq/m3)보다 높았다.  

하지만 최근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라돈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올해부터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재추진했다는 것이 환경부 측 설명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라돈 노출 실태파악 및 저감방안 마련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60여가구를 대상으로 시범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실제 ‘라돈 포비아’로 불릴 만큼 라돈 논란은 전국 아파트를 휘감았다. 지난해에만 △인천 송도 포스코더샵 △전주 송천동 에코시티 더샵 2차 △창원 용지 더샵레이크파크 △경기 화성 동탄2신도시 호수공원 더샵 △인천 중구 영종스카이시티자이 △부영 부산 신호 △제주 삼화 3차 아파트 △녹천역 두산위브 등의 대리석 및 화강암에서 기준치가 넘는 라돈이 검출됐다.

또한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이 지난달 전국 17개 지자체 중 경기도와 제주도, 충청남도를 제외한 14개 지자체가 제출한 ‘최근 5년간 아파트 라돈 검출 신고 접수 내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6개 아파트 단지, 총 1만7,282세대에서 라돈 검출 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은 당시 정부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내놓기도 했다.

환경부의 이번 조사는 일련의 사태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 및 대책마련의 일환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번 조사방식은 실내외 침실, 거실 등 주요 생활공간에 라돈 검출기를 설치해 90일간 측정한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조사 대상 2,000가구는 2008년 이후 입주한 아파트 현황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조사 표본수를 추출한 후, 해당 지자체의 추천을 거쳐 선정했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3년간 공동주택 실내 건축내장재 등 건축자재의 유통 현황을 조사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실내마감재의 실내공기 중 라돈 기여율 등을 분석할 방침이다.

또한 조사 결과,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실내 내장재를 도출하고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라돈 차폐재의 효과를 점검하는 등 저감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정현미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는 실생활 환경조건에서의 라돈 농도를 정확히 평가하는 만큼, 공동주택 라돈 관리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