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한규 부회장 “회원사, 소비자 편익증대·車 산업 발전에 역량 집중”
급발진 의심사례 및 차량 중대결함 조치 관련 “고민해 봐야 할 부분”
해외도피 사장 소속 브랜드에 대한 제재도 불가…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 밖”

/ 제갈민 기자
한국수입차협회가 6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국내 소비자 편익증대 및 소통강화 등 5대 전략적 방향성에 대해 발표했다. / 제갈민 기자

시사위크=제갈민 기자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이하 협회)는 6일 오전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협회의 26년 역사와 함께 ‘5대 전략적 방향성’에 대해 발표했다. 5대 전략적 방향성은 △적극적인 소통 △투명성 제고 △친환경 △국내자동차 산업에 기여 △사회공헌 등이다. 그러나 △적극적인 소통과 △투명성 제고 부분에 대해선 실천의지에 물음표가 붙는다. 

협회 측은 이날 간담회에서 “소비자의 편익 증대를 비롯해 소비자와 관계 기관, 정부 및 유관 기관(국회·국토교통부·환경부·산업통상자원부) 등과 소통을 적극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투명성 제고를 더해 정부기관에 보다 명확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강조했다.

임한규 한국수입차협회 부회장은 “자동차업계의 한 축으로서 대내외적으로 협회에 기대하는 부분이 크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협회와 회원사는 소비자 편익증대 및 자동차 산업 발전이라는 두 가지 큰 목표를 향해 모든 역량을 집중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작 소비자의 피해 구제와 관련해서는 전혀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소비자의 편익을 증대하고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한 것과 사뭇 대비되는 대목이다. 

실제 최근 수입차를 운행 중인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주행 중 차량 시동 꺼짐 현상 및 계기판 꺼짐과 같은 중대결함, 급발진 의심사례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수입차 브랜드에서는 이에 대해 지나치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거나, 결함을 인정하지 않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경우 차량 결함 입증은 전적으로 소비자의 몫인 상황이다.

이에 대해 협회 측에서는 당장 소비자를 도와주는 등의 조치는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협회 측 관계자는 “이러한 부분은 협회가 지금 이 자리에서 얘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선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업계와 함께 고민을 해 봐야 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적 논란을 야기한 사안들에 대해서도 협회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도 했다. 

협회 회원사 중 일부는 차량 배출가스 조작 의혹과 관련해 재판중이지만, 전(前) 사장은 해외도피를 감행했고 현재까지 감감무소식인 상태다. 하지만 협회 측은 회원사인 수입차 업체 측에 아무런 조치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더군다나 디미트리스 실라키스 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대표는 협회의 부회장까지 역임한 인물로,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에도 그에 대한 조치는 전무한 상황이다. “회원사와 함께 정부 및 유관기관과 소통을 강화하고,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협회 측의 다짐이 무색해지는 이유다.

임한규 부회장은 “유감스러운 일이 있었던 것에 대해 인지하고 있고 책임감을 느낀다”면서도 “(다만) 협회 차원에서 브랜드나 개인의 문제에 대해 제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협회가 강조한 ‘소통 강화‘와 ‘투명성 제고’가 소비자의 편익 증대를 위한 것이 맞는지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어 보인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르네 코네베아그 수입차협회 회장(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그룹사장)과 타케무라 노부유키 부회장(한국토요타자동차 사장), 임한규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