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내부 감사 차원에서 임직원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을 실시해 논란에 휩싸였다. / 뉴시스
카카오모빌리티가 내부 감사 차원에서 임직원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을 실시해 논란에 휩싸였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2022년 매각 추진 및 철회를 둘러싼 논란에 이어 지난해 위법행위에 따른 정부당국의 제재 추진으로 뒤숭숭했던 카카오모빌리티가 올해도 연초부터 예사롭지 않은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말 언론을 통해 M&A 관련 민감한 진행 상황이 알려진 것을 두고 내부 유출자 색출에 나서며 임직원 휴대전화 포렌식까지 실시해 파문이 확산하는 모습이다.

◇ M&A 관련 잇단 언론보도에 제보자 색출 나서… 노조는 ‘반발’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말부터 회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감사 차원의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관련 업무 및 대외 업무를 수행하는 임직원들이 주된 대상이다.

이러한 움직임의 발단으로 지목되는 건 지난해 이어진 M&A 관련 언론보도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11월 유럽 최대 택시호출 플랫폼 ‘프리나우’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데 이어 지난해 말에는 인수 추진이 사실상 무산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확인불가라거나 무산 또는 중단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후속 취재 및 보도가 이어지며 상당한 주목을 끈 바 있다. 이처럼 대내외적으로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이 잇따라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지자 ‘제보자 색출’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임직원 휴대전화를 대상으로 포렌식을 진행하는 건 결코 흔한 일이 아니다. 사안 또는 특성에 따라 일부 기업이 보안 점검 등을 위해 실시하는 경우가 없진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사생활 및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완전히 씻기 어렵기 때문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사생활 및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의혹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포렌식을 실시하며, 충분한 안내와 동의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쳤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카카오모빌리티 내부에선 반발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카카오 노조 크루유니언은 카카오 사내 게시판을 통해 발표한 성명서에서 “기간도 범위도 목적도 정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개인 정보를 들여다보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으며, 동의서 폐기와 포렌식 중단, 사과 등을 촉구했다.

시기 또한 논란을 키우는 요소다. 지난해 여러 불미스런 논란이 잇따랐던 카카오그룹은 대대적인 쇄신 및 변화에 착수한 상태다. 특히 지난해 12월 출범한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는 본사 및 계열사 경영진 비위 및 사회적 신뢰 훼손 행위를 적극 제보해달라며 직원들을 독려하기도 했다. 바로 이 같은 시기에 카카오모빌리티는 언론보도에 따른 제보자 색출에 나선 것이다.

물론 언론을 통해 보도된 M&A 관련 사안이 내부 비위 등과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제보자를 색출해야 할 정도로 중대한 사안인지에 대해서는 물음표가 붙는다. 이와 관련 카카오 노조는 “투명과 소통을 내세운 경영쇄신위원회와 준법과신뢰위원회의 활동이 시작됐음에도 카카오모빌리티 경영진은 윤리경영실과 감사실을 통해 인수 실패의 책임을 직원에게 돌리려 개인 사찰을 시작했다”고 꼬집었다.

무엇보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이번 ‘포렌식 논란’은 회사와 구성원 사이의 무너진 신뢰와 뒤숭숭한 내부상황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22년 매각 추진 및 철회로 안팎으로 진통을 겪었으며, 지난해에는 각종 위법 행위 논란으로 관계당국들이 제재 움직임을 보이고 대통령까지 나서 강하게 비판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은 바 있다. 이어 쇄신과 변화의 시동을 건 올해도 연초부터 예사롭지 않은 내부갈등을 표출하게 됐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에 신청한 동의의결 절차개시가 기각되면서 조만간 제재를 마주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금융감독원 차원의 제재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도 상당한 진통을 겪는 것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